학술논문
학교 차원의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운영의어려움과 지원방안 탐색
이용수 23
- 영문명
- Difficulties in Operating the Daily Living Activities Curriculum and Support Plan for Its Implementation at the School Level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김정연(Jeong-Youn Kim) 표윤희(Yun-Hui Pyo)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7권 제1호, 163~18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일상생활활동 운영 경험과 지원요구를 살펴보고 일상생활활동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편성하고 운영하기 위한 지원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총 16명의 초등학교 1~2학년의 담임교사,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업무를 담당하는 교육과정 부장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일상생활활동 운영의 어려움에 대한 주제는 3개 대주제, 7개의 소주제로 도출되었다. 학교 차원의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운영 지원방안은 3개 대주제, 9개의 소주제로 도출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일상생활 활동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지원방안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in the operation of daily living activities and to propose a support plan for effectively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daily living activities curriculum. Method: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16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sisting of homeroom teachers from grades 1 and 2, teachers responsible for the daily living activities curriculum, and curriculum department heads in charge of daily living activities. Results: The difficulties in operating daily living activities were identified under three main themes and 7 sub-themes. Support measures for operating the daily living activities curriculum at the school level were derived from three main themes and 9 sub-them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support plan to effectively operate daily living activit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교육위원회 설치와 연구·개발형 국가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재고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제7권 제1호 목차
- 마을교육활동가들은 학교-지역 연계 교육의 전개 과정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 학교자율시간 운영 지원을 위한 교수학습자료 활용 방안 : 부산 연제구의 교수학습자료를 중심으로
- 광주·전남지역 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 태도 수준과 영향요인
-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집필 경험자의 교과용도서 내·외적 체제 및 편찬에 대한 인식
-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도덕적 상상력 교육에 대한 질적연구
- 개인적 성공 경험을 가진 베이비 붐 세대로부터 도출한 융합교육의 의미와 방항성 탐색
- 학교 차원의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운영의어려움과 지원방안 탐색
- 일본의 한 내과 의사의 가치관 형성과 사회적 역할에 대한 생애사적 연구
- 대학생의 실제-이상 자기 불일치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자기 자비의 매개효과
- 대학과 지역사회 교육협력 방향에 대한 탐색 - S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공학 수업에서 단권화 노트의 학습 효과 연구
- 장애유아를 위한 안전교육 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 한국형 유아 정신건강 선별검사의 단축형 구성
- IB MYP 공동체 프로젝트(CP)를 활용한학교 민주시민교육 활성화 방안 탐구
- 예비특수교사의 다문화 학생 지도 경험과 인식 변화에 관한 질적 연구
-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교사교수역량 평가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놀이와 배움의 연계 탐구: 교육내용과 역량을 중심으로
- 주제중심 수업과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특수학급 지적장애 중학생의 내러티브 기술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