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놀이와 배움의 연계 탐구: 교육내용과 역량을 중심으로
이용수 83
- 영문명
- Exploring the Connection Between Play and Learning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Focusing on Educational Content and Competencie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최윤경(Yoon-Kyeong Choi)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7권 제1호, 415~43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놀이와 배움의 연계를 이해하고, 놀이 속에서 교육내용과 역량을 중심으로 배움을 연계하는 방식을 탐구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2019 개정 누리과정 문서를 분석하여 놀이와 배움의 연계, 교육내용과 역량의 역할을 탐색하였다. 또한 전문적 시각의 개념을 착안하여 놀이 사례를 텍스트 분석해 교사가 놀이와 배움을 연계하는 두 가지 방식을 가시화해 보았다. 연구결과: 교육내용과 역량은 놀이 속에서 유아가 경험해야 할 의미 있고 가치 있는 배움과 연계되어 읽을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교육내용과 역량으로 놀이와 배움 연계하기는 깊이 있는 배움을 이해할 수 있는 교사의 전문적 영역이었다. 이를 통해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을 생성할 수 있으며, 그 끝은 유아와 교사의 교육과정 되기-과정이 펼쳐질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connection between play and learning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focusing on how educational content and competencies shape learning in play. Method: Document analysis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ole of educational content and competencies. Text analysis of play cases visualized two ways teachers link play and learning. Results: Educational content and competencies were found to be linked to meaningful and valuable learning experiences that children should encounter in play. Conclusion: Connecting play and learning through educational content and competencies is a professional domain of teachers that enables a deeper understanding of learning. Through this, an emergent curriculum can be developed, ultimately unfolding as a becoming-process of curriculum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목차
Ⅰ. 탐구의 시작
Ⅱ. 개정 누리과정에서 놀이와 배움의 연계에 대한 이해
Ⅲ. 놀이와 배움의 연계에서 교육내용과 역량의 역할
Ⅳ. 교육내용과 역량으로 놀이와 배움을 연계하기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교육위원회 설치와 연구·개발형 국가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재고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제7권 제1호 목차
- 마을교육활동가들은 학교-지역 연계 교육의 전개 과정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 학교자율시간 운영 지원을 위한 교수학습자료 활용 방안 : 부산 연제구의 교수학습자료를 중심으로
- 광주·전남지역 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 태도 수준과 영향요인
-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집필 경험자의 교과용도서 내·외적 체제 및 편찬에 대한 인식
-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도덕적 상상력 교육에 대한 질적연구
- 개인적 성공 경험을 가진 베이비 붐 세대로부터 도출한 융합교육의 의미와 방항성 탐색
- 학교 차원의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운영의어려움과 지원방안 탐색
- 일본의 한 내과 의사의 가치관 형성과 사회적 역할에 대한 생애사적 연구
- 대학생의 실제-이상 자기 불일치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자기 자비의 매개효과
- 대학과 지역사회 교육협력 방향에 대한 탐색 - S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공학 수업에서 단권화 노트의 학습 효과 연구
- 장애유아를 위한 안전교육 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 한국형 유아 정신건강 선별검사의 단축형 구성
- IB MYP 공동체 프로젝트(CP)를 활용한학교 민주시민교육 활성화 방안 탐구
- 예비특수교사의 다문화 학생 지도 경험과 인식 변화에 관한 질적 연구
-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교사교수역량 평가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놀이와 배움의 연계 탐구: 교육내용과 역량을 중심으로
- 주제중심 수업과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특수학급 지적장애 중학생의 내러티브 기술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