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학 수업에서 단권화 노트의 학습 효과 연구
이용수 8
- 영문명
- A Study on Learning Effects of Consolidation into a Single Volume Notebook in Engineering Classe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민정욱(Jung-wook Min) 정현주(Hyun-ju Jeung)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7권 제1호, 187~20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 수업에서 단권화 노트 활용의 학습 효과를 탐색하는 것으로 단권화 노트 작성이 중간과 기말시험 결과에 미치는 영향과 성찰 경험의 매개효과 탐색을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 방법: 양적인 연구 및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한 혼합연구를 채택하였다. 공학 기초 교과목 2개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단권화 노트를 작성하도록 하고 과제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단권화 노트 사용은 성찰적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습관적 학습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성찰 경험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는 비일관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논의 및 결론: 단권화 노트 사용이 공학 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Kolb의 경험학습 모델에 근거하여 공학 수업에서 성찰 경험을 촉진하기 위한 단권화 노트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learning effects of using single-volume notebooks in engineering courses that require problem-solving. Method: A mixed-methods approach was adopted. Students in two introductory engineering courses were assigned to create single-volume notebooks as part of their coursework. Results: The use of single-volume notebook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Regarding reflective experiences, th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indicating that in-depth reflection had a positive impact, while habitual learning had a negative impact. However,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reflective experiences showed inconsistent results. Conclusion: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use of single-volume notebooks has a positive impact on engineering education. Finally, effective ways to utilize single-volume notebooks to promote reflective experiences in engineering courses based on Kolb’s model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경험학습 이론과 성찰 역량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교육위원회 설치와 연구·개발형 국가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재고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제7권 제1호 목차
- 마을교육활동가들은 학교-지역 연계 교육의 전개 과정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 학교자율시간 운영 지원을 위한 교수학습자료 활용 방안 : 부산 연제구의 교수학습자료를 중심으로
- 광주·전남지역 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 태도 수준과 영향요인
-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집필 경험자의 교과용도서 내·외적 체제 및 편찬에 대한 인식
-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도덕적 상상력 교육에 대한 질적연구
- 개인적 성공 경험을 가진 베이비 붐 세대로부터 도출한 융합교육의 의미와 방항성 탐색
- 학교 차원의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운영의어려움과 지원방안 탐색
- 일본의 한 내과 의사의 가치관 형성과 사회적 역할에 대한 생애사적 연구
- 대학생의 실제-이상 자기 불일치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자기 자비의 매개효과
- 대학과 지역사회 교육협력 방향에 대한 탐색 - S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공학 수업에서 단권화 노트의 학습 효과 연구
- 장애유아를 위한 안전교육 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 한국형 유아 정신건강 선별검사의 단축형 구성
- IB MYP 공동체 프로젝트(CP)를 활용한학교 민주시민교육 활성화 방안 탐구
- 예비특수교사의 다문화 학생 지도 경험과 인식 변화에 관한 질적 연구
-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교사교수역량 평가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놀이와 배움의 연계 탐구: 교육내용과 역량을 중심으로
- 주제중심 수업과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특수학급 지적장애 중학생의 내러티브 기술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