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volunteer program participants for well-aging
- 발행기관
-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 저자명
- 송현동(Hyeon Dong Song) 김광환(Kwang Hwan Kim) 임숙희(Sook Hee Im)
- 간행물 정보
- 『지식과 교양』제17호, 947~97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웰에이징 교육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자원봉사 경험에 대한 인터뷰를 토대로 웰에이징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인생설계코칭지도사 프로그램 수료자 30명 가운데 연구 목적에 동의한 자발적 연구 참여자 8명을 대상으로 줌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봉사활동의 의미 단위를 추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웰에이징을 위한 자원봉사 프로그램과 지원방안은 첫째, 자원봉사 참여자들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지원 둘째, 수요자 중심 봉사활동 셋째, 봉사활동 참여자에 대한 보상체계 마련 넷째, 교육을 통한 자원봉사자의 역량강화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 연구에서 주목했던 봉사활동의 참여동기, 만족감, 지속성, 삶의 변화, 효능감 등의 주제와는 다른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웰에이징을 위한 자원봉사 프로그램 참여자의 효과를 높이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a volunteer program for well-aging based on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in a well-aging education program about their volunteer experience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conducting Zoom interviews with 8 voluntary research participants who agreed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mong 30 graduates of the Life Design Coaching Coach program. This study applied Giorgi’s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to extract and analyze the meaning units of volunteerism, and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Volunteer programs and support measures for well-aging are: first, support for educational programs for volunteers; second, demand-oriented volunteer services; third, establishment of a compensation system for volunteers; and fourth, enhancement of volunteers’ capabilities through edu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suggest different measures from those that have been focused on in previous studies, such as motivation, satisfaction, continuity, life change, and efficacy of volunteer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way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volunteer programs for well-aging.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의 방법
4. 연구의 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수자 커뮤니케이션, 라포, 대학 평판이 전공 만족도, 이탈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 대학 물리학과 수학의 학습 시기 연계에 대한 분석 : A 대학을 중심으로
- 유리 도시로 변모해가는 도시이미지에 대한 도시 감정의 탐색 : 서울청사·63빌딩·강남삼성사옥 도시이미지인자에 대한 도시민의 의견을 중심으로
- 정부 재난안전 합동점검의 개선방안 연구
- 접근가능한 관광의 관점에서 살펴본 영유아 동반자의 관광행동 분석 : 목표지향적 행동모델의 적용
- 문화유산콘텐츠 서비스품질이 감정반응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30-40대 미혼 청년이 전망하는 노년의 삶
- 지식과 교양 제17호 목차
- 국어과 예비교사를 위한 문학 비평 교육 강의 사례 연구 : K대학교 문예비평론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 『교방가요』소재 교방정재 분석을 통한 교방정재의 변모양상 : 공연예술 3요소를 바탕으로
- 〈오징어 게임〉의 자본주의 병리성 형상화 : 시즌 2 딱지맨의 왜곡된 인정 투쟁과 선택 설계
- AI 휴먼 챗봇의 신뢰도 형성 과정 : 오피니언 리더와 일반 이용자의 스피치 역량과 인지된 상호작용 품질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웰에이징을 위한 자원봉사 프로그램 참여자의 효과 연구
- 노벨상과 인공지능
- 대학생들의 자살에 대한 인식과 예방을 위한 상담적 제안 : 대전 A대학을 중심으로
- 게임 리터러시 교육의 양상과 특징 연구
- 중국 복건성(福建省) 유치원의 유아 무용교육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 천주시(泉州市) 혜안(惠安)지역을 중심으로
- 2년제 대학생의 성찰일지 작성 경험 : D 대학 교양수업을 중심으로
- 생성형 AI(ChatGPT)를 활용한 한·베 통역 수업 사례 연구
- 젠더리스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 소론 : 메를로-퐁티의 신체 현상학과 살 존재론을 중심으로
- Fixed-point Method for a New TVL2 Image Segmentation Model
- 계몽주의 시대 중·후반 철학자/작가의 개념 변화와 그 의미 1 : 1730년 무렵부터 1760년경까지
- 뉴미디어 씨어터의 미학적 특성 연구 : 빌렘 플루서와 레프 마노비치의 이론적 프레임을 중심으로
- 초월론적 과제와 하이데거의 역사성 인수과정에 관한 고찰 : 후설과 딜타이를 통해
- 농악의 전통과 현대적 재해석, 그리고 교육콘텐츠 개발 : 화천농악 사례를 중심으로
- 인문학으로서의 음악의 정합성에 대한 해석인식론적 사유
- 대학교 직원의 행동적 특성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기술다양성의 통제효과를 중심으로
- 조선 선비의 부부관
- 니체의『 비극의 탄생』과 리토릭적 연주의 상호작용 : 감정적 설득과 음악 수사학 중심 분석
- 부사성 의존명사의 품사 설정에 대한 고찰 : ‘듯, 듯이, 둥, 족족’을 중심으로
- 3·1절 대통령 연설문의 어휘 사용 양상 연구 : 빅카인즈의 특성값 추출 어휘를 중심으로
-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 적응 지원 방안 : 사례연구를 통한 통찰
- 학생의 학교적응과 부모의 성취압력 간의 종단적 관계 :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검증 연구
- 장애인의 장애 유형에 따른 영화교육 방법론 : 시각장애인 영화감상교육을 중심으로
- 미디어 시대, 교양교육으로서 향유적 문학 읽기 교육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교양교육연구 제19권 제4호 목차
- 학부 유학생을 위한 단계별 학습 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 A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 교양교육 인프라(교양교사 비율)의 확대가 부적응 자퇴를 매개로 징계성 퇴학률에 미치는 영향 - 학교폭력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