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Importance of Humanities in 21st Century Career Education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 저자명
- 서재욱(Jaewook Suh) 백성혜(Seoung-Hey Paik)
- 간행물 정보
- 『융합교육연구』제11권 제1호, 101~1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문학이 진로교육에서 주변적인 역할을 한다는 기존의 인식을 반박하며, 인문학이 비판적 사고, 윤리적 판단, 문화적 문해력, 적응력, 그리고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러한 역량은 경영, 의료, 기술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점점 더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주제범위 문헌 고찰(scoping review)을 통해 인문학적 역량이 노동시장 준비도와 직업적 성공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문학을 진로교육에 통합하면 학제 간 문제 해결 능력이 향상되고, 윤리적 의사결정이 강화되며, 인간 중심의 전문 직업 실천에서 혁신이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문학 교육은 자동화와 인공지능이 전통적인 직무 역할을 변화시키는 시대적 상황에서 창의적이고 윤리적으로 책임 있는 리더십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기반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인문학과 STEM 및 경영 교육을 연결하는 체계적인 학제 간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며, 역량 기반 교육과정, 산업 파트너십, 정책 개혁을 통해 인문학이 진로교육의 핵심 요소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hallenges the notion that humanities are peripheral in professional training by highlighting their essential role in cultivating critical thinking, ethical reasoning, cultural literacy, adaptability, and communication skills—competencies that are increasingly indispensable across diverse industries, including business, medicine, and technology. Through a scoping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this research examines how humanities-based competencies contribute to workforce readiness and professional success. Findings indicate that the integration of humanities into career education enhances interdisciplinary problem-solving, strengthens ethical decision-making, and fosters innovation in human-centered professional practices. Moreover, as autom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reshape traditional job roles, humanities education provides a foundation for creative and ethically responsible leadership. The study proposes a structured interdisciplinary framework that bridges humanities with STEM and business education, advocating for competency-based curricula, employer partnerships, and policy reforms to ensure humanities remain a core component of professional training.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s
Ⅲ. Results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화책을 활용한 시스템사고 교육 방안에 관한 시론적 탐색
- 입자 모델 개발을 위한 코딩 프로그램 활용 수업의 교육적 가치 탐색: 증발과 끓음을 중심으로
- e스포츠 환경에서의 사이버 윤리 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 모델 연구: Dewey의 탐구적 학습 적용
- 혁신학교의 교육과정 혁신 실행 양상 분석
- The Importance of Humanities in 21st Century Career Education
- 저항시인 이상화의 권투(Boxing) 관련 활동의 의미 연구
-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교과 문해력 함양과 복합양식 텍스트 독서 연구
- 융합교육 문헌 고찰을 통한 유아융합교육과정 제안
- 융합적 관점에서 본 해양조선 산업과 진로교육 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International Journal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IJFSE) Vol. 39, No. 1 Contents
- Impact of Air and N2 Atmospheres on Thermal Runaway and Gas Emissions in 21700 Lithium-Ion Batteries
- Development of a Prediction Model for Heat Release Rate of a Train Seat Based on Properties Obtained from Small- Scale Material Burning Test: Lateral Flame Spread Behavior on Seat Surface and Its Effect on Burning Behavior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