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 초등교사의 개인, 대학생활 특성에 따른 집단별 교육성과의 차이 분석
이용수 56
- 영문명
- Analysis of Differences in Educational Performance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Personal and University Life Characteristic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건남(Gun-Nam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7권 제4호, 251~26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예비 초등교사의 개인적, 대학생활특성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고 각 집단별로 교육성과(학업성취, 교육만족, 진로발달)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서 각 집단별로 교육성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특정한 성질을 공유하는 모집단 내에서 질적으로 다른 하위 그룹을 식별하는데 사용하는 통계방법인 잠재집단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집단은 ‘집단 1’은 ‘학교생활 참여 및 만족도가 높은 집단’, ‘집단 2’는 ‘고연령의 휴학,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집단’, ‘집단 3’은 대학생활에 만족감이 낮은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학생 특성에 맞춘 맞춤형 지원이 요구된다. 셋째, 학생 간 유대감 증진 프로그램 확대가 요구된다. 넷째, 대학 만족도 제고를 위한 전반적인 제도 개선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categoriz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based on their personal and university life characteristics, analyze differences in their educational outcomes (academic achievement,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development), and propose measures to improve these outcomes. Employing latent class analysis, a statistical method used to identify qualitatively different subgroups within a population that share certain characteristics, the study yielded the following key findings.
First, the analysis identified three groups: Group 1 (actively involved in school life and highly satisfied), Group 2 (older with part-time work experience), and Group 3 (less satisfied with university life). Second,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customized support tailored to individual student characteristics. Third, there is a need to expand programs that promote student bonding. Fourth, the overall system should be improved to enhance university satisf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초등 STEAM 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
- 초·중·고 발명 실습실 디지털 제작 도구의 위험 요인 분석에 따른 안전 기준안 탐색
- 학교자율시간 적용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 ‘생태지향적인 삶 실천하기’ 주제 중심으로
- 수시 개정 교육과정기 실과 검정 교과서 농업 생명과학 영역 단원의 체제 비교분석
- 4차 산업혁명 시대 초등 실과교육에서의 웨어러블 스마트 의류 교육에 관한 연구
- 디자인 씽킹 기반 메이커 교육프로그램이 초등 예비교사의 감성지능과 메이커 역량에 미치는 효과 - ‘생활용품 개선 프로젝트’ 중심으로
- 학교자율시간 운영을 위한 드론 활용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학생 행위주체성 신장 효과
- 늘봄학교의 초등학교 저학년 대상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 학교자율시간 적용을 위한 실과교육 프로그램 개발 - 건설 구조물을 만들어 봐요
- 초등 실과에서 효율적인 소프트웨어와 로봇 및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플랫폼의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학교자율시간에 활용할 실과교육프로그램 개발: 정원에서 공부해요
- 초등 식생활 영역에서의 체인지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개발
- 늘봄학교 발명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분석 및 교육 전문인력 양성 방안 연구
- IPA기법을 이용한 예비교사의 에듀테크 역량에 대한 인식 연구
- 2022 개정 기술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 예비 초등교사의 개인, 대학생활 특성에 따른 집단별 교육성과의 차이 분석
- 양말의 기원과 역사에 관한 연구 - 고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 유 라시아연구
- 학교교육 성과지수 개발을 위한 가치 모형 탐색 정책 포럼 자료집
- 평생 교육학연구
- 법문사
-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교육재정경제연구
- 교육사회학연구
- 고등교육연구
- 한국교육학연구
- 교육행정학연구
- 교육평가연구
- 관광레저연구
- 입학전형연구
- 세무회계연구
- 한국심리학 회지:사회 및 성격
- 청소년상담연구
- 박사학위논문
- 석사학위논문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편저, 직업교육훈련대사전
- 한국교원교육연구
- 직업능력개발연구
- Automatic Control
-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ublishers
- NY: Norton
- Administration Science Quarterly
- Wiley
- In Stefan Svallfors (Eds.). The political sociology of the welfare state: institutions, social cleavage, and orientations. Stanford, California: Stanford University Press.
- Journal of Higher Education
- Biometrika
- Wiley
-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 Marketing Science
- New Brunswick: Transaction Publishers
- Vocational Guidance Quarterly
- The Annals of Statistics
- Psychometrika
- West Sussex, UK :Wiley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