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늘봄학교 발명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분석 및 교육 전문인력 양성 방안 연구
이용수 123
- 영문명
- The Study on Program Analysis And Training of Educational Professionals for Invention Education at Neulbom School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유현(Yuhyun Choi) 이승원(Seungwon Lee) 이광재(Kwang-Jae Lee) 김승현(Seunghyun Kim) 손다미(Da-Mi Son) 강신조(Shin-Jo K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7권 제4호, 205~22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늘봄학교의 추진 및 전면 확대에 따라 초등학생들의 미래 역량을 함양하고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맞춤형 발명교육 프로그램 지원 체계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늘봄학교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분석 및 활용, 개발 방안을 수립하고자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늘봄학교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완 로드맵 제시와 더불어 늘봄학교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지도할 수 있는 체계적인 전문인력의 양성 및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늘봄학교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창의력과 문제해결능력을 키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기존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을 진단하고,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 및 보완 로드맵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지도할 전문인력의 체계적 양성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늘봄학교에서 발명교육이 활성화되고 초등학생들의 미래 역량을 효과적으로 함양하며, 지속 가능한 교육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study proposed a customized invention education program support system to enhan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uture capabilities and support their growth in accordance with the promotion and full expansion of Neulbom School. To this end, the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invention education programs applicable to Neulbom School to develop plans for their utilization and development. In addition, it presented a roadmap for developing and supplementing the Neulbom School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nd proposed a plan for systematically training and utilizing professional facilitators to guide the program.
The study highlighted the necessity of systematic program development and professional training to ensure that the Neulbom School invention education program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ster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skills. It assessed the potential of utilizing existing invention education programs, presented a roadmap for new program development and supplementation, and outlined a systematic training plan for professional facilitators. This is expected to promote invention education at Neulbom School, effectively foster students’ future capabilities, and establish a sustainable learning environ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늘봄학교 발명교육 프로그램
V. 늘봄학교 발명교육 전문인력 활용 및 양성 방안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초등 STEAM 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
- 초·중·고 발명 실습실 디지털 제작 도구의 위험 요인 분석에 따른 안전 기준안 탐색
- 학교자율시간 적용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 ‘생태지향적인 삶 실천하기’ 주제 중심으로
- 수시 개정 교육과정기 실과 검정 교과서 농업 생명과학 영역 단원의 체제 비교분석
- 4차 산업혁명 시대 초등 실과교육에서의 웨어러블 스마트 의류 교육에 관한 연구
- 디자인 씽킹 기반 메이커 교육프로그램이 초등 예비교사의 감성지능과 메이커 역량에 미치는 효과 - ‘생활용품 개선 프로젝트’ 중심으로
- 학교자율시간 운영을 위한 드론 활용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학생 행위주체성 신장 효과
- 늘봄학교의 초등학교 저학년 대상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 학교자율시간 적용을 위한 실과교육 프로그램 개발 - 건설 구조물을 만들어 봐요
- 초등 실과에서 효율적인 소프트웨어와 로봇 및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플랫폼의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학교자율시간에 활용할 실과교육프로그램 개발: 정원에서 공부해요
- 초등 식생활 영역에서의 체인지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개발
- 늘봄학교 발명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분석 및 교육 전문인력 양성 방안 연구
- IPA기법을 이용한 예비교사의 에듀테크 역량에 대한 인식 연구
- 2022 개정 기술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 예비 초등교사의 개인, 대학생활 특성에 따른 집단별 교육성과의 차이 분석
- 양말의 기원과 역사에 관한 연구 - 고대를 중심으로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