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자율시간 적용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 ‘생태지향적인 삶 실천하기’ 주제 중심으로
이용수 96
- 영문명
- A Study of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for School Autonomous Hours - Focusing on the Theme of “Practicing an Ecologically-Oriented Life”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윤정(Yun-Jung Lee) 이영민(Young-Mi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7권 제4호, 49~6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4학년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학교자율시간에 적용가능한 ‘생태지향적인 삶 실천하기’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 절차는 선행연구 및 교육과정 분석, 목표 및 교육내용 선정, 교수-학습 계획 수립 및 프로그램개발, 평가의 4단계로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에 내용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실과 가정생활 분야를 중심으로 총 28차시로 구성되며,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학교자율시간에서 ‘활동’의 형태로 ‘분산 운영’의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학교자율시간 교육프로그램의 목표는 환경 문제의 심각성과 생태지향적인 삶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일상생활에서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설명할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생태지향적인 삶을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것으로 본 교육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생태지향적인 삶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일부 주제에 대해서는 디지털·AI를 활용하도록 구성하여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디지털 소양을 함양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4학년 학교자율시간과 연계한 실과 가정생활 분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나, 학년별, 학교급별 수준에 맞는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생태지향적인 삶의 실천을 위해 가정, 지역사회, 타교과목과 연계한 프로그램 내용 개발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veloped an educational program, “Practicing an Ecologically-Oriented Life,” for 4th-grade students to be implemented during school autonomous hours. The program was developed following a four-step process: prior research and curriculum analysis, selection of goals and educational content, development of a teaching-learning plan and program, and evaluation, including its content validity. The resulting program comprises 28 sessions, with a focus on the home economics life field of practical arts. It is designed to be implemented during school autonomous hours with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using ‘activities’ through a ‘distributed operations’ approach. The program’s goals are to: help students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issues and the need for an ecologically-oriented lifestyle; explain various environmental protection methods in daily life; and understand and apply ecological principles in everyday practices. Additionally, some topics incorporate digital and AI elements to foster digital literacy and prepare students for future societal challenges. While this study focused on developing the program specifically for 4th-grade school autonomous hours, similar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other grades and educational levels. Future program development should involve collaboration with families, communities, and other academic subjects to promote and support ecologically-oriented lifestyl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초등 STEAM 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
- 초·중·고 발명 실습실 디지털 제작 도구의 위험 요인 분석에 따른 안전 기준안 탐색
- 학교자율시간 적용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 ‘생태지향적인 삶 실천하기’ 주제 중심으로
- 수시 개정 교육과정기 실과 검정 교과서 농업 생명과학 영역 단원의 체제 비교분석
- 4차 산업혁명 시대 초등 실과교육에서의 웨어러블 스마트 의류 교육에 관한 연구
- 디자인 씽킹 기반 메이커 교육프로그램이 초등 예비교사의 감성지능과 메이커 역량에 미치는 효과 - ‘생활용품 개선 프로젝트’ 중심으로
- 학교자율시간 운영을 위한 드론 활용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학생 행위주체성 신장 효과
- 늘봄학교의 초등학교 저학년 대상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 학교자율시간 적용을 위한 실과교육 프로그램 개발 - 건설 구조물을 만들어 봐요
- 초등 실과에서 효율적인 소프트웨어와 로봇 및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플랫폼의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학교자율시간에 활용할 실과교육프로그램 개발: 정원에서 공부해요
- 초등 식생활 영역에서의 체인지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개발
- 늘봄학교 발명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분석 및 교육 전문인력 양성 방안 연구
- IPA기법을 이용한 예비교사의 에듀테크 역량에 대한 인식 연구
- 2022 개정 기술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 예비 초등교사의 개인, 대학생활 특성에 따른 집단별 교육성과의 차이 분석
- 양말의 기원과 역사에 관한 연구 - 고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