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초등학생의 의생활 관리행동 필요도와 학습요구도에 관한 조사 연구

이용수  2

영문명
A Parents Survey on Need to Study and Learning Needs of Clothing Management Behavior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윤정(Yun-jung Lee) 조윤주(Youn-joo Cho)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7권 제3호, 73~9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9.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의생활 관리행동 필요도와 실과 의생활 교육에서의 학습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해, 전국 초등학생 학부모 총 4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의 의생활 관리행동 관심도에 대해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낮은 관심집단’, ‘보통 관심집단’, ‘높은 관심집단’의 3개의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초등학생의 의생활 관리행동에 대한 필요도는 ‘구입과 사용’, ‘정리와 보관’, ‘처분’, ‘계획’의 4개의 요인으로, 의생활교육에 대한 학습요구도는 ‘의생활 관리행동 학습’과 ‘의생활문화와 기능습득 학습’의 2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둘째, 학부모들은 '초등학생 자녀의 의생활 관리행동인식과 자립도’에 대해서는 보통, 혹은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초등학생 의생활 관리행동의 필요도에 대해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구입과 사용’이 가장 높고 ‘정리와 보관’, ‘처분’, ‘계획’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모든 요인에서 의생활 관리행동에 대해 필요도가 높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학부모들이 초등학교 재학당시 ‘실과의생활 교육에 대한 인식’은 ‘보통이다’로 다소 부정적인 응답을 보였으며, 군집별로 보면 ‘높은 관심집단’만이 다소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넷째, 자녀들의 실과의생활교육에 대한 학습필요도(3.81)와 요구도(3.84)는 집단 간 차이는 있었으나 모두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과 의생활교육의 학습요구도는 ‘의생활 관리행동 학습’(3.94), ‘의생활문화와 기능습득 학습’(3.82)의 두 영역 모두 요구도가 높았다. 특히, ‘간단한 의생활소품 만들기’의 학습요구도에 비해 '나눔과 봉사를 실천할 수 있는 만들기' 활동에서 학습요구도가 높게 나타나 만들기 활동을 기능중심이 아닌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초등학생 학부모들은 자녀의 의생활 관리행동에 대한 필요도와 학습요구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자신의 자녀들이 학교 교육을 통해 의생활 관리행동에 대한 전반적인 학습이 이루어지기를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parents' preference of clothing management, students' needs of clothing management, parents' perception of clothing section and their learning needs, based upon random sampling of 451 parents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ross country. Following is the results. First of all, a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the needs to study and learning needs of clothing management behavior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well as clothing life preference among parents. As a result, three different group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eference level (high, medium, and low) by the cluster analysis, and the students' need and learning needs were found to have four factors (purchase & usage, organization & storage, disposal and planning) and two factors (clothing management behavior and clothing life culture and functional knowledge) respectively. Second, parents tended to perceive independence level of clothing management behavior among children as average or negative. Also, when it comes to children's needs on clothing management, 'purchases and usages' ranked the first, followed by 'organization and storage', 'disposal' and 'planning'. The average factor scores, over 3.67, show a consistent high demands of clothing management behavior, despite substantial differences across clusters. Third, 'average' was the parents' perception level of clothing education, based upon their own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days, while only 'highly interested' cohort showed rather 'positive'. Fourth, both learning needs and needs to study, although slightly different across cohorts, were very high among children. And learning needs of clothing education appeared high through 'clothing management behavior', and 'clothing culture and functional knowledge', while 'how to store clothing in an appropriate way' appeared highly necessary compared to 'making a simple clothing item'. As the latter may grow needs of 'activity to practice of sharing and services', nevertheless, the making activity may be designed to focus on humanity development rather than functional knowledge. Those research outcomes imply that parents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a strong needs and demands for clothing management behavior, that is clothing education itself too. Future research may include survey on teachers and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which were not covered in this research focusing on parent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윤정(Yun-jung Lee),조윤주(Youn-joo Cho). (2014).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초등학생의 의생활 관리행동 필요도와 학습요구도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 (3), 73-92

MLA

이윤정(Yun-jung Lee),조윤주(Youn-joo Cho).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초등학생의 의생활 관리행동 필요도와 학습요구도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3(2014): 73-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