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식사 및 수면실태가 ADHD 증상에 미치는 영향분석
이용수 292
- 영문명
- Analysis of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ating and sleep practice on their ADHD symptom.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진오(Choi, Jin-Oh)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7권 제3호, 115~13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식사 및 수면실태가 ADHD의 하위증상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충동성 증상에 어떠한 영항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식사 또는 수면실태가 ADHD증상에 미치는 영향이 대상 아동의 성별과 학년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 경기지역 초등학교 769명을 대상으로 식사 및 수면실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충동성 증상을 측정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의 식사실태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충동성 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주의력결핍 증상에 있어서는 식사실태의 모든 하위영역(불규칙한 식사, 인스턴트 식사, 건강한 식사, 부적절한 식사태도)이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특히 부적절한 식사태도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잉행동/충동성 증상에 있어서는 불규칙한 식사와 부적절한 식사태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마찬가지로 부적절한 식사태도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사실태가 주의력결핍 증상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다른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특히, 여학생들의 주의력결핍 증상이 인스턴트식사와 부적절한 식사태도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들의 수면실태는 주의 력결핍, 과잉행동/충동성 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실태의 하위영 역인 수면과정상의 문제와 수면 후 피로감 모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충동성 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수면 후 피로감의 영향이 수면과정상의 문제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면실태가 주의력결핍 증상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다른 차이를 나타내 었는데 남학생들에 비해 여학생들의 주의력결핍 증상이 수면 후 피로감에 더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eating and sleep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ir ADHD symptoms and to find the differences of these influences based on their gender and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s of Seoul and Gyeonggi educational regions, 769 4-6th sixth grade students were examined regarding their eating and sleep practice, and inattention and hyperactivity/impulsiveness symptom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ating practice of the students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ir ADHD symptoms. All the sub-areas of eating practice(Irregular meal, instant meal, healthy meal, and improper eating attitude) could influence inattention symptom. Especially, the influence of improper eating attitude on inatten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And, irregular meal and improper eating attitudes could influence hyperactivity/impulsiveness symptoms. The influence of improper eating attitudes on hyperactivity/impulsiveness was the most significant as well.
Compared to male students, in female students, instant meal and improper eating attitude were more likely to influence their inattention symptoms sensitively. Second, the sleep practice (problems of sleep process, fatigue after sleep)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uld increase their inattention and hyperactivity/impulsiveness symptoms. The influence of the fatigue after sleep on inattention and hyperactivity/impulsiveness symptoms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problems of sleep process. Also, the fatigue after sleep of the female students was more likely to influence their inattention symptoms sensitively than that of male students.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명교사 PCK에 근거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평가준거 개발
- 초등학생의 식사 및 수면실태가 ADHD 증상에 미치는 영향분석
- 기술학에서의 융합교육(STEAM) 실현 방안
- 교육대학교 창의·인성 교육의 당면 과제와 발전적 대안
- 창의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영재학생들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 미래 연구 워크숍을 통해 바라본 청소년의 미래 직업 탐색 연구
- 발명 창의성의 개념 고찰 및 발명영재의 창의적 성향 분석
- 창의·인성 의생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인성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역사적 발전에 터한 스마트교육 수행 방안
-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초등학생의 의생활 관리행동 필요도와 학습요구도에 관한 조사 연구
- 초등학생의 원예활동에 대한 관심도가 정서지능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실과 실습실의 작업대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 로봇활용교육을 위한 초등교사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