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명교사 PCK에 근거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평가준거 개발
이용수 109
- 영문명
-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Conformity for Inven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vention Teachers’ PCK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동원(Lee, Dong-Won)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7권 제3호, 153~16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발명교사의 PCK를 바탕으로 하여 교사들이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프로그램의 적합성을 검증할 수 있는 평가준거를 개발하는 것으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에서 ‘교육목표’에 대한 평가준거는‘다른 교육에 미치는 영향’, 학 생의 인식 변화’, ‘학생의 발명능력 수준’, ‘목표의 명확성’이다.
둘째,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에서 ‘교육내용’에 대한 평가준거는‘새로운 내용’, ‘발명교육의 운영 방법과 여건’, ‘현대 사회에서의 가치’, ‘학생의 심리 반영’, ‘학생들의 경험 고려’, ‘교사의 이론적 지식’,‘교사의 경험’이다.
셋째,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에서 ‘교육방법’에 대한 평가준거는‘아이디어 구상 ,‘산출물’, 수업 방법’, ‘문제 상황’,‘전략 활용’,‘학생 활동 조절’,‘필요한 여건’, ‘학생 구성’, ‘수업의 유연성’, ‘학생의 준비상태 확인’이다.
넷째,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에서‘평가’에대한 평가준거는 ‘프로그램 효과의 검증을 위한 평가’,‘평가 결과의 활용 방안’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평가준거는 지금까지 발명교육을 진행해오고 있는 교사들이 실제 발명교육 에서 고려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지금까지 이루어지고 있는 발명교육들은 그 효과성이 입증되고 있다. 결국 발명교사들이 실제 발명교육에서 고려하고 있는 사항들을 점검하며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한다면 타당성 있는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focused on evaluation conformity to verify the conformity when developing invention education program. It is based on invention teachers’ PCK.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valuation conformity about ‘Education objective’ when developing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re ‘Effects on the other education’, ‘Recognize changes in the students’, ‘Invention ability level of students’, ‘Clarity of objective’.
Second, the evaluation conformity about ‘Education content’ when developing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re ‘New content’, ‘Operations and conditions of invention education’, ‘Value in modern society’, ‘Reflect the student’s sentiment’, ‘Consider the student’s experience’, ‘Theoretical knowledge of teacher’, ‘Experience of teacher’.
Third, the evaluation conformity about ‘Education method’ when developing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re ‘Ideation’, ‘Outputs’, ‘Teaching method’, ‘Problem situation’, ‘Strategy’, ‘Student Activity control’, ‘Necessary condition’, ‘Students’ configuration’, ‘Flexibility of the class’, ‘Ensure readiness of students’.
Fourth, the evaluation conformity about ‘Evaluation’ when developing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re ‘Evaluation for the verification of program effectiveness’, ‘Use of evaluation result’.
The evaluation conformity what presented in this study is considering on actual invention education by invention teachers who charge of invention education, and their invention education’s effectiveness has been proved. Eventually, it will be reasonable invention education program if check these evaluation conformity, when developing invention education program.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의 결과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명교사 PCK에 근거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평가준거 개발
- 초등학생의 식사 및 수면실태가 ADHD 증상에 미치는 영향분석
- 기술학에서의 융합교육(STEAM) 실현 방안
- 교육대학교 창의·인성 교육의 당면 과제와 발전적 대안
- 창의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영재학생들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 미래 연구 워크숍을 통해 바라본 청소년의 미래 직업 탐색 연구
- 발명 창의성의 개념 고찰 및 발명영재의 창의적 성향 분석
- 창의·인성 의생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인성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역사적 발전에 터한 스마트교육 수행 방안
-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초등학생의 의생활 관리행동 필요도와 학습요구도에 관한 조사 연구
- 초등학생의 원예활동에 대한 관심도가 정서지능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실과 실습실의 작업대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 로봇활용교육을 위한 초등교사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