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의·인성 의생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인성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4

영문명
The Effect of Creativity and Character Clothing Education Program on Creativity and Charact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정은(Jung-Eun Kim) 이윤정(Yun-jung Lee)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7권 제3호, 93~11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창의․인성 의생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인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창의․인성교육과 초등 의생활교육, 창의성과 인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후 창의․인성 의생활교육프로그램을 6주제 13차시로 편성하였고, 2014년 3월부터 4월까지 7주간에 걸쳐 초등학교 2학년 학생에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WIN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고, 학생들의 행동 변화 관찰과 소감문을 통해 정성적 분석도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창의성 점수, 인성 점수를 비교하여 검증한 결과 5% 수준에서 창의성과 창의성의 4개 하위 영역, 인성과 인성의 6개 하위 영역에서 모두 유의차가 있었다. 둘째, 실험집단의 프로그램 적용 후의 창의성 점수와 인성 점수를 검증한 결과 창의성과 창의성의 4개 하위영역, 인성과 인성의 6개 하위영역 모두 5% 수준에서 유의차가 있었다. 셋째, 프로그램 적용 전후 학생들의 행동 관찰, 소감문 작성을 분석한 결과 의생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과 같은 창의성과 활동성, 사회성, 사려성, 협동심과 같은 인성의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학교급별로 연구대상을 달리하여 창의성과 인성 함양을 위한 창의․인성 의생활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지기를 제안하며, 현장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매뉴얼북의 개발 등 창의성과 인성의 개발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지속되기를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creativity and character clothing education program on creativity and charact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e research, a hypothesis was set that there will be no difference in before/after and left/right creativity and character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 creativity and character clothing education program and the comparative group who did not.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creativity and character clothing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for about 7 weeks from the second week of March to the third week of April, 2014, while the comparative group had creativity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chool curriculum. Creativity and character clothing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performing a posttest to verify the effect. And then, t-test was conducted by using SPSSWIN 21.0 with the significance level at 5%. Also, change of behavior among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observed, and change of their thought, feeling, and behavior was analyzed based on the essay they wrote after finishing the program. The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comparison of creativity and character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showed that, on the 5% leve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areas including four subdomains in creativity,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sophistication, and six subdomains in character, activity, dominance, impulsivity, consideration, and sociability. This implies that creativity and character clothing education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creativity ad character. Second, verification of creativity and character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creativity and character clothing education program, showed that, on the 5% leve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areas including four subdomains in creativity,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sophistication, and six subdomains in character, activity, dominance, impulsivity, consideration, and sociability. This implies that creativity and character clothing education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creativity ad charact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the analysis of behavioral observation and students’ essays after the program showed that creativity and character clothing education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creativity ad character.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are proposed as research subjects for future studies.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second grade students of an elementary school. Future research will need to involve creativity and character clothing education program for other grades. Second, effort should be made to distribute the creativity and character clothing education program for general school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IV. 연구 결과 및 해석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은(Jung-Eun Kim),이윤정(Yun-jung Lee). (2014).창의·인성 의생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인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 (3), 93-114

MLA

김정은(Jung-Eun Kim),이윤정(Yun-jung Lee). "창의·인성 의생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인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3(2014): 93-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