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Shots of Living Space and Landscape Paintings in 'Amour'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주진숙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62호, 337~36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Michael Haneke's 2012 film Amour, two sets of shots are presentedambiguously at the crucial moments of main character's elderly lives. Oneis a series of landscape shots taken from the oil paintings, which havebeen hung on the walls of their living space, and the other are five stillshots of their living room, kitchen, dining room, bedroom and lobby area. Those shots were presented with a shock so that they attracts viewers'attention and make them reflect on the theme of the film, that is deathresided in their space and repressed as a sign of forthcoming disaster themain characters have to confront. This paper tries to investigate on themeaning of the shots in relation with the theme of Michael Haneke'souvre, especially those deal with suicidal acts. The shots of landscapepaintings reveal a sense of uncanny, emanated from an invisible realitythat has been existed in their living space but they have not owned, thatis death. The shots of their living space correspond with the shots oflandscape paintings, producing the paradoxical meaning of living space asa reflection on the consciousness of human being thrown into the world. And this leads us to read this space as heterotopia, spaces that have morelayers of meaning or relationships to other places than immediately meetthe eye. Furthermore, Haneke plays with the icons of horror-disaster genremovie with the space in favor of self-determination for death of the maincharacters. For Haneke, suicide might be an authentic and ethical act that rejects or intervenes the symbolic system, thus results in radical self-destruction.
목차
1. 들어가며
2. 그들이 소유한 풍경/자연/죽음
3. 거주공간의 외부로부터의 침입
4. 유토피아에서 헤테로피아로: <아무르>의 거주공간
5. 죽음의 자기결정권
6.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안(李安)의 초기작 혹은 경합하는 개념들
- 전주국제영화제 방문객의 선택속성과 재방문 의도에 관한 연구
- <아무르>의 거주공간과 풍경화 쇼트들에 대한 분석
- 필름 느와르의 장르 변화를 통해 본 장르적 관습과 향유 과정의 연관성
- The Vision and Challenges of Korean Film Industry Facing Prosperity
- 영화 콘텍스트, 비평가 신뢰도, 관람객 관여도가 영화에 대한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낯선 여인과의 하루>의 화면 분할
- 왜 다큐멘터리인가
- 다큐멘터리 스토리텔링에 대한 고찰
- 오즈 야스지로 영화의 편집 미학
- 하야가와연예부의 유락관 경영에 관한 연구
- 게임형식 기반의 인터랙티브 영화스토리텔링 개발에 대한 연구
- 영화연구 제62호 목차
- 영화 <요리사, 도둑, 그의 아내 그리고 그녀의 정부>에 의해서 환기된 혐오반응
- 영화발전기금의 재정비에 관한 연구
- 할리우드 영화에서 표현된 동아시아 오리엔탈리즘의 변화 그리고 탈식민주의
- 영상장르 전환에 따른 재현 차이에 관한 연구
- 한국영화학회 이사회 (2013-2014)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