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시대 『노걸대(老乞大)』언해서의 서체 변화에 대한 고찰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Stylistic Changes of Hangul Script in the Vernacular Editions of Nogolda during th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이정아(Jeong-ah Lee)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제47호, 29~5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조선 시대 언해본의 한글 서체의 변화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조선 시대 대표적인 교육서인 1517년 『번역노걸대(飜譯老乞大)』와 1670년 『노걸대언해(老乞大諺解)』 그리고 1795년 『중간노걸대언해(重刊老乞大諺解)』를 비교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 획형에서는 『번역노걸대』와 『노걸대언해』가 직선적이고 굵기가 일정한 특성을 보였다. 반면, 『중간노걸대언해』에서는 보다 유연하고 곡선적인 흐름과 미묘한 굵기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는 18세기 필사체의 아름다움이 판본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였음을 의미한다. 둘째, 자·모음 비교를 통해 15세기 판본의 특징인 치두음(ᅏᅠ)과 정치음(ᄿᅠ)이 『중간노걸대언해』에서 사라진 게 확인되었다. 더불어 『중간노걸대언해』에 이르러 획 사이의 공간이 여유로워지고 세로획이 길어진 점은 17세기부터 시작된 궁체로의 전환을 시사하며, 조선 후기의 서예 양식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합자 구조에 있어서 『번역노걸대』의 조밀했던 자형이 『노걸대언해』에서는 자·모음 간격이 보다 여유롭고 균형감 있게 변화되었다. 『중간노걸대언해』에 이르러서는 획 사이의 간격이 더 넓어짐과 동시에 획이 가늘어져 정방형에서 벗어난 유연성이 드러나기 시작하였다. 특히 상·중·하 합자 가운데 행필의 흐름은 궁체적 요소와 필사체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음을 암시한다. 결론적으로 『노걸대』 언해본의 서체 변화는 실용성을 중시한 교육 문헌의 목적과 함께 그 시대의 서예와 필기 문화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되며 이는 18세기의 한글 서체 및 서예사 전개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는 귀중한 자료이다. 향후 동시대의 외국어 역학서인 『몽어노걸대』나 『첩해신어』 등과의 비교 분석으로 확대된다면 한글의 역사적 전개와 서예사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volution of Hangul calligraphic styles in vernacular editions (eonhaebon) from the Joseon dynasty. To this end, it compares three representative educational texts: Beonyeok Nogeoldae (1517), Nogeoldae Eonhae (1670), and Junggan Nogeoldae Eonhae (1795). The comparative analysis yields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in basic stroke morphology, Beonyeok Nogeoldae and Nogeoldae Eonhae exhibit straight strokes of relatively uniform thickness, whereas Junggan Nogeoldae Eonhae presents a more fluid, curved rhythm with subtle variations in thickness. That suggests that the aesthetic of eighteenth-century cursive manuscript hands began to influence printed editions. Second, a comparison of consonants and vowels confirms that features characteristic of fifteenth-century prints—such as chidueum (ᅏ) and jeongchieum (ᄿ)—disappear in Junggan Nogeoldae Eonhae. In addition, the increased inter-stroke spacing and lengthened verticals indicate a transition toward the court style (gungche) from the seventeenth century onward, reflecting late Joseon calligraphic trends. Third, in syllable-block composition, the dense letterforms of Beonyeok Nogeoldae give way in Nogeoldae Eonhae to more balanced spacing between consonants and vowels. By Junggan Nogeoldae Eonhae, wider inter-stroke intervals and thinner strokes introduce flexibility beyond the square form. In particular, the flow of the upper-middle-lower components in syllable-block composition indicates the growing influence of the court style and cursive manuscript practice. In conclusion, the stylistic shifts observed in the Nogeoldae vernacular editions reflect both the functional aims of educational texts and the contemporaneous calligraphic and writing culture. These editions represent a critical turning point in the development of eighteenth-century Hangul calligraphy and its historiography. Future comparative work with contemporary translation/interpretation textbooks such as Mong-eo Nogeoldae and Cheophae Sineo will further clarify the historical evolution of Hangul and its calligraphic traditions.

목차

Ⅰ. 서론
Ⅱ. 『노걸대』언해서의 서지
Ⅲ. 『노걸대』언해서의 서체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아(Jeong-ah Lee). (2025).조선 시대 『노걸대(老乞大)』언해서의 서체 변화에 대한 고찰. 서예학연구, (), 29-56

MLA

이정아(Jeong-ah Lee). "조선 시대 『노걸대(老乞大)』언해서의 서체 변화에 대한 고찰." 서예학연구, (2025): 29-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