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취묵헌 자용인장(自用印章)의 유형과 성격

이용수  0

영문명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hwimukheon(醉墨軒)’s Personal Seals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성인근(In-geun Soung)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제47호, 5~2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동양의 평면예술에서 인장은 작품의 완성을 의미하는 중요한 요소이자 작가의 개성과 예술적 지향을 표현하는 수단이 된다. 서예가 인영선은 전각의 가치를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며 다양한 인장들을 소장하고 작품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그가 평생 애용했던 인장들은 단지 서예작품을 마무리하는 도구를 넘어 그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던 수많은 서예ㆍ전각가들과의 예술적 교유를 상징하는 징표로서 의미를 지닌다. 인장은 사용자가 사망하면 더 이상 인장으로서의 공능이 사라진 유물이 되고 만다. 그러나 서화가가 남긴 인장 유물은 한 작가의 전각에 대한 인식을 확인할 수 있는 도구이자 인적 교유관계의 징표가 되며, 남은 작품들의 진위를 증명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기도 한다. 최근 취묵헌 인영선 자용인장(自用印章)의 전모를 촬영하고 네 권의 인보(印譜)로 제작하면서 총 144과 149방의 전각이 확인되었다. 인영선이 사용했던 인장들은 크게 자각인(自刻印)을 비롯하여 전배와 동년배, 후배, 제자들, 그리고 중국 전각가들의 각인을 포함하고 있었다. 한 작가가 전각을 통해 교유한 삶의 흔적들이 고스란히 유물로 남은 셈이다. 이 논문은 인영선의 자용인장들을 시기별, 작가별로 분류하고 분석하여 그가 남긴 전각이 지닌 서예·전각사적 의미를 확인한다. 그리고 선생의 사적 교유의 맥락에서 전각이 갖는 의미를 고찰한다. 인영선의 자용인장들은 단지 개인의 예술적 기록물에 그치지 않고 한국 현대 서예 및 전각 예술의 흐름을 살필 수 있는 동시에 동시대 예술가 간의 긴밀한 교유의 증표로서 그 의미가 크다 하겠다.

영문 초록

In East Asian planar art, seals are an essential element signifying the completion of a work, as well as a medium through which the artist’s individuality and artistic orientation are expressed. Calligrapher In Young-seon, known by his art name Chwimukheon(醉墨軒),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seal engraving and collected a wide variety of seals, making active use of them in his works. The seals he favored throughout his life were not merely tools to finish calligraphic pieces, but also symbolic markers of his artistic exchanges with numerous calligraphers and seal engravers with whom he maintained close relationships. A seal loses its functional role upon the death of its owner, becoming merely an artifact. However, the seals left behind by an artist serve as valuable evidence of the artist’s perception of seal engraving, as indicators of personal networks, and as important tools for verifying the authenticity of remaining works. Recently, In Young-seon’s personal seals(自用印章) were photographed and compiled into four volumes of seal catalogues(印譜), revealing a total of 144 carved seals in 149 imprints. The seals used by In Young-seon include not only his own carvings but also works by his seniors, peers, juniors, disciples, and Chinese seal engravers. The traces of a life enriched through exchanges in the art of seal engraving are thus preserved intact in these seal relics. This paper classifies and analyzes In Young-seon’s personal seals by period and by engraver, examining their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calligraphy and seal engraving. Furthermore, it explores the meaning of seal engraving within the context of the artist’s personal interactions. In Young-seon’s personal seals are not merely private artistic records; they hold great value as materials for tracing the trends of modern Korean calligraphy and seal engraving, and as tangible symbols of the close bonds among contemporary artist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서예가에게 전각(篆刻)의 의미
Ⅲ. 자용인장의 유형
Ⅳ.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인근(In-geun Soung). (2025).취묵헌 자용인장(自用印章)의 유형과 성격. 서예학연구, (), 5-28

MLA

성인근(In-geun Soung). "취묵헌 자용인장(自用印章)의 유형과 성격." 서예학연구, (2025): 5-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