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dit Aesthetics of Ozu Yasujiro's Films: The Variation of the Landscape Shot and the Extension of the Graphic Continuity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문관규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62호, 79~10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Ozu Yasujiro's films, the family is the main point of his film andthe life is contained through the marriage event of the family members. Ozu' style is regulated to the fixed screen, Tatami shot and the samedirectivity, while the part of edit is evaluated unconcern relatively. Ozu's edit is characterized 'how was the landscape shots played thevariation between the one cut and the other cut' and 'how was thecontinuity expanded through the graphic similarity'. The first trait ofOzu's edit is the landscape shot. It is the most representative thing for setscreen to play a role like a kind of guide when the shot is shifted fromoutside to inside. Ozu's landscape shots are classified to a few types. First, it not only presents the residence space of the main character, butplays a role as bridge connecting a scene and the next scene. Second, itrepresents the theme of the film indirectly. For example, it shows thecirculation and the repetition of the nature in and exposesthe repeat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pace intermediated bypassageway in . Finally, it plays a role as the setscreen representing the identity of a place. It is the conventionallandscape shot. Ozu's landscape shots perform the customary function of the set screen,present the residental environment of the characters and play the role of bridge for making the narrative rhythm. The graphic similarity changesthe scenes through the element of mise-an scene, the element of color andmoving and the similarity of the behavior and the composition. Theexample of shift as similarity of color is the scene connected from the redwashing to the red lighting in . Last, the achievement of the edit's originality and the extension ofrepresentation at the Ozu's edit style is found in the case shifted tomontage of attraction with the continuity through the similarity of thethings and the people. If the graphic similarity is maintained by thesimilarity of form like a shape or a composition, the similarity of thethings and the people links artistic Simultaneism wiping away theboundary between the things and the people and Manmuljedong ofJangja's theory. The shoes arranged neatly represented the image of the anold couple in and the jar was identified with sleepingfather in . These are brought to the top of Ozu's graphicsimilarity.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오즈의 편집 미학: 풍경 쇼트(landscape shot)의 변주와 조형적 연속성(graphic continuity) 의 확장
3.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안(李安)의 초기작 혹은 경합하는 개념들
- 전주국제영화제 방문객의 선택속성과 재방문 의도에 관한 연구
- <아무르>의 거주공간과 풍경화 쇼트들에 대한 분석
- 필름 느와르의 장르 변화를 통해 본 장르적 관습과 향유 과정의 연관성
- The Vision and Challenges of Korean Film Industry Facing Prosperity
- 영화 콘텍스트, 비평가 신뢰도, 관람객 관여도가 영화에 대한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낯선 여인과의 하루>의 화면 분할
- 왜 다큐멘터리인가
- 다큐멘터리 스토리텔링에 대한 고찰
- 오즈 야스지로 영화의 편집 미학
- 하야가와연예부의 유락관 경영에 관한 연구
- 게임형식 기반의 인터랙티브 영화스토리텔링 개발에 대한 연구
- 영화연구 제62호 목차
- 영화 <요리사, 도둑, 그의 아내 그리고 그녀의 정부>에 의해서 환기된 혐오반응
- 영화발전기금의 재정비에 관한 연구
- 할리우드 영화에서 표현된 동아시아 오리엔탈리즘의 변화 그리고 탈식민주의
- 영상장르 전환에 따른 재현 차이에 관한 연구
- 한국영화학회 이사회 (2013-2014)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커피 프랜차이즈 기업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전략 연구 - 큐렌들리 마케팅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