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establishment of the Film Development Fund: From the Comparison with French Film Support Policy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노철환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62호, 51~7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e year 2013, the number of annual cinema audiences surpassed213 million in Korea. Among them, the Korean films attracted more than127 million audiences. Both are the best records in Korean film history. Picture house attendances are distinctly on the increase again this year. There are two movies that already achieved breaking the domestic recordfor over10million tickets in the first quarter of 2014. In spite of thisgrowing, ironically, there are some uncertainties disturbing the growth ofKorean film industry. First of all, major companies’ vertical integrationsuch as CJ, Lotte, is coming to absolute power over the whole filmindustry. The next thing is the dinky size of the secondary film market. Furthermore, there is an urgent issue, ‘the Film development fund’. TheFilm development fund is a public support fund based on the Act on thepromotion of the film and video. It has been charged 3% at a movieticket price from 2007. This fund plays a meaningful role to reduce theimbalance of Korean film industry and promote cultural diversity andpublic interest. The problem is that the collection of this fund is going tobe ended by the year 2014. The balance of this fund is currently around250 billion won and without any other support it is likely to be used allup before 2020. This study tries to grasp the point of arguments around the extension of the Fund and to find a solution. To achieve its goal, we research theworld’s leading system, French film support policy. This successful story,the French support scheme over 60 years being continued, will help ussuggest an alternative future of the Film development fund that cansatisfy all the members of the Korean film industry.
목차
1. 서론
2. 프랑스 영화정책
3. 영화발전기금의 재정비에 대한 제언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안(李安)의 초기작 혹은 경합하는 개념들
- 전주국제영화제 방문객의 선택속성과 재방문 의도에 관한 연구
- <아무르>의 거주공간과 풍경화 쇼트들에 대한 분석
- 필름 느와르의 장르 변화를 통해 본 장르적 관습과 향유 과정의 연관성
- The Vision and Challenges of Korean Film Industry Facing Prosperity
- 영화 콘텍스트, 비평가 신뢰도, 관람객 관여도가 영화에 대한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낯선 여인과의 하루>의 화면 분할
- 왜 다큐멘터리인가
- 다큐멘터리 스토리텔링에 대한 고찰
- 오즈 야스지로 영화의 편집 미학
- 하야가와연예부의 유락관 경영에 관한 연구
- 게임형식 기반의 인터랙티브 영화스토리텔링 개발에 대한 연구
- 영화연구 제62호 목차
- 영화 <요리사, 도둑, 그의 아내 그리고 그녀의 정부>에 의해서 환기된 혐오반응
- 영화발전기금의 재정비에 관한 연구
- 할리우드 영화에서 표현된 동아시아 오리엔탈리즘의 변화 그리고 탈식민주의
- 영상장르 전환에 따른 재현 차이에 관한 연구
- 한국영화학회 이사회 (2013-2014)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