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Hollywood Representations and Genre Conventions in Shin sang-ok’s movie: Focusing on the Narrative in the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조정희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72호, 327~35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신상옥의 <어느 여대생의 고백>(1958)의 내러티브 구조를 파악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상옥은 <어느 여대생의 고백>(1958)을 제작하기 전까지흥행과는 거리가 먼 행보를 걸었는데, 이 작품을 시작으로 신상옥의 이름을 한국영화계에 각인시킬 수 있었다. 그렇다면 이 작품이 전작과 무엇이 달라졌기 때문에 흥행감각을 키울 수 있었을까? 그것은 관객의 반응을 유도하고 지속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안정된 흥행을 담보한다는 고전적 할리우드영화의 서사구조를 도입했기 때문이다. 이 방식은 191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사이 제작된 할리우드영화의 일관된 스타일을 말하는데, 여기에는 일정하고 통일된 규칙과 양식이 존재한다. 이 서사양식은 특수한 목적의식을 가진 주인공이 자신의 욕망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고군분투하며, 대립관계의 인물로 인해 위기에 빠지지만 그 상황을모면하고 결국에는 행복한 삶을 맞이하는 닫힌 결말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잘짜여진 발단-전개-위기-절정-결말의 극적구조는 서사의 완성도를 높이면서 관객의 궁금증을 단계적으로 해소시킬 뿐 아니라, 인류의 오래되고 보편적인 문화양식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내러티브를 수행하게 해준다. 이처럼 <어느 여대생의 고백>(1958)은 고전적인 할리우드영화의 내러티브 구조의 특징을 모방하면서 주인공의 상황에 감정적으로 이입할 수 있는 인과성을부여하고 있다. 영상 텍스트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인공의 심리적 인과 관계가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둘째, 주인공의 욕망과 대치되는 대항세력을 설정한다. 셋째, 두 개의 플롯 라인을 교차시켜 서사를 풍성하게 한다. 넷째, 위기를 극복하고 행복한 결말에 도달한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영화의 구조를 견고하게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차적으로 신상옥이 감독으로 데뷔한 1950년대를 중심으로당시 영화계의 사정과 외화 수입의 현황을 살펴, 그가 왜 고전적 할리우드영화의서사구조를 받아들이게 되었는지 먼저 살펴보고자 한다. 그런 다음 고전적 할리우드영화의 내러티브 구조를 들여다보면서 <어느 여대생의 고백>(1958)에는 어떤 식의 서사구조가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양식은 이후 신상옥의 영화를 견고하게 만드는 장치로 사용되어 1960년대 다양한 장르에서 지속적으로 수용되었음을 강조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narrative structure of Shin Sang-ok ‘s . Sin Sang-ok walked away from the box office until the work of appeared. Starting with this work, I informed the Korean film industry of the name of Shin Sang-Ok. So, what wa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movie so that I could develop my sense of box office? It is based on the narrative structure of a classic Hollywood cinema that induces and sustains the reaction of the audience and consequently assures a stable box office. This style refers to the consistent style of Hollywood films produced between the late 1910s and the 1960s. There are certain rules and forms here. This form works hard to make a hero with a special purpose consciousness realize his desire.And he falls into a crisis as a character of confrontation, but he has a closed ending structure that solves the situation and eventually brings a happy life. The dramatic structure of a well-structured beginning-development-crisis-climax-ending raises the completeness of the narrative. This is based on the old and universal culture of mankind, so it has a stable narrative. As such, is characterized by the narrative structure of a classic Hollywood cinema. First, the main character ‘s psychological causation plays a central role. Second, we set up opposing forces against the hero’s desires. Third, it enriches narrative by crossing two plot lines. Fourth, we overcome the crisis and reach a happy ending. solidifies the narrative of the film based on these principl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situation of the film industry and the status of Film imports in the 1950s when Shin Sang-ok debuted as a director. And why he came to accept the narrative structure of classical Hollywood cinema. Therefore, I want to analyze the narrative about .
목차
1. 문제제기 및 연구사 검토
2. 1950년대 후반 한국영화에서의 할리우드 표상
3. 고전적 할리우드영화의 내러티브 구조
4. 영화 <어느 여대생의 고백>의 영상 텍스트 분석
5. 신상옥이 추구한 내러티브와 장르적 관습의 지속성
6.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식민지 조선에서 테크니컬러 상영에 관한 연구
- 영화역사학의 기술적 전환
- 동시대 한국영화가 세월호를 기억하는 방식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알리스 기(Alice Guy)의 ‘기술적 작가성’
- 디지털 이미지 시대의 주체와 객체의 변증법적 관계
- 얼굴 미학을 통한 트랜스 아이덴티티의 표상
- 초기 영화 속 속도의 테크놀로지, 그리고 기술 문명의 표상
- 실재성을 구현하는 영화의 가상 이미지 연구
- 바쟁과 텔레비전: 영화와 텔레비전 스타일
- 영화연구 제72호 목차
- 탈냉전시대 영화 <역도산>이 말하지 않은 것들
- 신상옥이 추구한 할리우드 표상과 장르적 관습
- 영화 속 인공지능의 역할 변화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