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Research on virtual images reproducing actuality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이규정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72호, 105~13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면서 영화에서 재현하고 있는 시각이미지는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의 도래는 영화가 ‘새로운 지각적 경험’의 새로운 세계로 관객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충분히 보여주었고, ‘허구적스토리텔링’이라는 수단이라기보다는 관객의 감각과 의식을 확장시켜주는 ‘확대장치(amplifier)’로서 기능하게 된다. 따라서 시각이미지의 변화를 관객이 어떻게수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디지털 영화의 중요한 의미를 찾는 과정이라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시각이미지를 표현함에 있어 실사 이미지와 디지털 이미지의 결합으로 제작되어진 영화와 디지털이미지를 중심으로 제작된 영화를 각각 선정하여 영화에서 표현된 시각이미지의 다양한 수용적 측면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디지털 시대의 영화는 상상의 대상을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로 소환하기도 하고, 가상의 공간을 통해 현실을 재현하면서 가상과 현실의 구분을 모호하게 하며, 이미 대상을 재현하는데 있어서의 한계를 벗어난다. 과거 영화가 가지고 있는 본질의 문제에 있어 사진적인 재현에 강한 집착을 보여 왔다면 디지털시대의 영화는 이러한 경향을 벗어나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 내기 위해 다른 장르의 특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기 시작했다. 특히 최근의 디지털 영화는 애니메이션과의 결합을 통해 영화가 가지고 있는 사진적인 사실성과 애니메이션이 가지고 있는 환상성을 결합하여 전반적으로 공진적이고 융합적인 형태의 진화를선보이며 체험증강 요인을 생성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같은 기술적 진보에있어서도 우리가 중요하게 여겨야 할 것은 시각이미지가 재현하는 환상과 현실체험을 다루는 영화의 본질을 기억하는 것이며, 본질의 충실함 속에 항상 새로운힘을 발휘할 수 있는 영화매체의 진화를 이룰 수 있도록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As digital technologies develop, visual images reproduced in films are changing in various ways. The appearance of digital media showed sufficient potential that films are able to lead the audience into a new world of ‘a new perceptive experience’, and the media works as an ‘amplifier’ which enlarges the sense and consciousness of the audience rather than a tool of ‘fictional storytelling’. So it is regarded that reviewing over how the audience accept the changes in visual images is a process looking for the important meaning of digital films. So this research holds a comparative analysis on various spectrum in the acceptance of visual images reproduced in films by selecting films produced with recorded and digital-made images and films with mainly digital-made ones in ways of reproducing visual images. The films in digital era often summon imaginary creatures into our real world, reproduce reality in imaginary places to merge the imagination and reality, and have almost no limit in reproducing objects. While the old films strongly obsessed in picture-like reproduction, films in digital era stepped out of this tendency and actively started accepting characteristics of other genres to create new images. Especially, digital films in these days, through fusion with animated films, combine picture-like reality from films and fantasy from animated films together and show resonated and fusional evolution as creating aspects related to augmented experiences. Regardless of technical developments like these, what still more important is to remember the essence of films that deals with experiences about reality and fantasy reproduced from visual images, and to delve into the evolution of film media which sustains with new strength based on sufficient essence.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부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식민지 조선에서 테크니컬러 상영에 관한 연구
- 영화역사학의 기술적 전환
- 동시대 한국영화가 세월호를 기억하는 방식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알리스 기(Alice Guy)의 ‘기술적 작가성’
- 디지털 이미지 시대의 주체와 객체의 변증법적 관계
- 얼굴 미학을 통한 트랜스 아이덴티티의 표상
- 초기 영화 속 속도의 테크놀로지, 그리고 기술 문명의 표상
- 실재성을 구현하는 영화의 가상 이미지 연구
- 바쟁과 텔레비전: 영화와 텔레비전 스타일
- 영화연구 제72호 목차
- 탈냉전시대 영화 <역도산>이 말하지 않은 것들
- 신상옥이 추구한 할리우드 표상과 장르적 관습
- 영화 속 인공지능의 역할 변화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