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lice Guy’s ‘Technical Authorship’: Visual Styles and the Experiments with Sound in Her Gaumont Films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이선주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72호, 165~19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896년 첫 극영화를 만든 최초의 여성감독 알리스 기는 영화역사에서 가장 오래된 영화사 중 하나인 고몽을 탄생시킨 주역이었다. 고몽사의 총괄제작자로서컬러 영화 기법의 일종인 수작업-착색 색채(hand-tinted color)와 초기 사운드-이미지 동기화 시스템인 크로노폰(Chronophone)과 같은 새로운 영화기법을 실험했던 알리스 기는 뤼미에르 형제 및 멜리에스와 함께 초기영화 역사의 선구자였다. 그녀는 수많은 영화의 각본을 쓰고 연출하고 제작했을 뿐 아니라, 루이 푀이야드(Louis Feuillade), 에티엔 아르노(Étienne Arnaud)와 같은 프랑스 초기 영화의 개척자 감독들을 키워냈고, 고몽의 스태프들에게 새로운 기술을 훈련시키며 영화테크놀로지 발전에 기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사는 기를 오랫동안 주변적으로 다루거나 뒤늦게 인정해 왔다. 본 논문은 초기영화라는 특수한 맥락에서 영화제작 전반은 물론 영화 테크놀로지의 기법적, 미학적 차원들에도 직접적으로개입해 자신의 서명을 남긴 알리스 기의 작가성을 ‘기술적 작가성’으로 규정하고, 그녀가 고몽 시절(1896∼1907) 만든 영화들에서의 시각적 스타일과 사운드 실험등을 살펴봄으로써 이를 입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본 논문은 기를 ‘최초의 여성감독’으로서보다는 ‘최초의 개척자 감독’중 한 사람으로 인식하고, 그녀가 탐구하고 발견했던 기술적 특성들을 통해 초기영화의 역사를 맥락화한다. 또한 초기 컬러 영화와 사운드 영화를 조명함으로써 흑백에서 컬러로, 무성에서 유성으로의 변화라는 영화 기술 발전의 진화론적 관점에 질문을 제기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Alice Guy, the first female filmmaker in the history of cinema who made her first narrative film in 1896, was one of the leading figures of Gaumont as one of the oldest film studios. She was a pioneer of early cinema along with the Lumière brothers and Georges Méliès, as she experimented with new technologies of film, such as hand-tinted color and the Chronophone that Gaumont invented as an early system of sound-image synchronization, during her service as executive producer of Gaumont. She did not simply write, direct, and produce numerous films, but also cultivated early pioneers of French cinema such as Louis Feuillade and Étienne Arnaud and trained new techniques for Gaumont’s staff and thereby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film technology. Despite these contributions, however, the official history of cinema has long marginalized Guy or acknowledged her too late. This paper proposes the idea of ‘technical authorship’ as a conceptual tool that specifies Alice Guy’s idiosyncratic authorship characterized by her wide-ranging control of the whole film production processes as well as the technical and aesthetic dimensions of cinematic technologies in the context of early cinema. In doing so, it examines Guy’s uses of cinematography, visual effects, and sound experiments in the films that she produced in Gaumont from 1896-1907. At the same time, however, this paper acknowledges her as ‘the first pioneer of cinema’ rather than ‘the first female director’ as it contextualizes the history of early cinema by illuminating technical aspects that Guy investigated and discovered. In doing so, its examination of the color and sound in early cinema also intends to problematize the evolutionary perspective on the development of film technology.
목차
1. 초기영화와 ‘기술적 작가성 (technical authorship)’
2. 알리스 기의 시각적 스타일과 기술적 실험들
3. 초기영화 = 무성영화?
4.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식민지 조선에서 테크니컬러 상영에 관한 연구
- 영화역사학의 기술적 전환
- 동시대 한국영화가 세월호를 기억하는 방식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알리스 기(Alice Guy)의 ‘기술적 작가성’
- 디지털 이미지 시대의 주체와 객체의 변증법적 관계
- 얼굴 미학을 통한 트랜스 아이덴티티의 표상
- 초기 영화 속 속도의 테크놀로지, 그리고 기술 문명의 표상
- 실재성을 구현하는 영화의 가상 이미지 연구
- 바쟁과 텔레비전: 영화와 텔레비전 스타일
- 영화연구 제72호 목차
- 탈냉전시대 영화 <역도산>이 말하지 않은 것들
- 신상옥이 추구한 할리우드 표상과 장르적 관습
- 영화 속 인공지능의 역할 변화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