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시대 한국영화가 세월호를 기억하는 방식

이용수  0

영문명
A Certain Way of Contemporary Korean Cinema Remembering The Tragedy of Sewol Ferry: Focused on Tunnel(2016)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최은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72호, 293~326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 사회의 구성원들의 기억 속에 살아 있는 경험 기억은 문화적 기억으로 변모하여 전수된다. 알라이다 아스만에 따르면 예컨대 사회가 그 기억을 잃어버릴까 두려워하거나, 그 기억을 내팽개쳐 버리고 싶어 하는 경우에 문화적 기억의위기가 찾아온다. 문화적 기억에는 자체 기구가 없기 때문에 매체와 정치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데, 알라이다 아스만은 이 일을 예술의 몫으로 보고 있다. 즉, 그는 문화적 기억의 위기의 시대에 예술이 출몰한다고 주장했다. 각각의 역할을 중심으로 기억을 다시 저장 기억과 기능 기억으로 구분했을 때, 이 때의 예술적 회상은 저장으로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기억과 망각을 부각시키는 작용을 한다. 2014년 4월 16일 세월호가 진도 앞바다에서 침몰한 이후 다양한 방식으로 제기되고 출몰하는 기억 투쟁은 역설적으로 이 시대가 기억의 위기에 직면했음을고통스럽게 확인해 준다. 본 연구는 세월호를 바디우적인 의미에서의 ‘사건’으로이해하고, 알라이드 아스만이 말한 ‘문화적 기억의 위기’에 대한 경계와 반응이라는 관점에서 대중영화 <터널>을 분석한다. 트라우마적인 사건을 재현하는 데 있어서 필연적으로 제기되는 재현의 윤리학과 재현 불가능성의 논리 사이에서 <터널>이 취한 이미지와 서사의 전략에 관심을 두었다. <터널>은 가장 대중적인 방식으로 동시대 관객들의 정서에 감응하면서도 기억이라는 역사적이고 현재적 과제를 수행하려는 의지를 표명한 작품이라고 보았다. 예술작품이 진공상태에서 탄생하는 것이 아니며, 정치적인 시대에는 가라앉는배에 타고 있는 사람의 생각이 온통 가라앉는 배로 향할 수밖에 없다고 했던조지 오웰의 말처럼, 작가가 쓰는 글들은 어떻게든 문제적인 이슈들과 관계되어있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주장은 오늘날 한국의 대중영화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가라앉는 배’의 메타포가 세월호 이후 한국사회처럼 절박하게 와 닿는 시공간이또 있을까. 오웰이 1948년 현재 유럽사회가 그렇다고 보았듯이, 2017년대한민국은 그 어느 때보다 ‘정치적인 시대’이다.

영문 초록

The experiential memories alive in the memory of social members are supposed to be turned to be a kind of cultural memories. According to Alida Asman’s theory, for example, when a society is afraid of forgetting the memories, or wants to put aside them, the crisis of cultural memories could arise. Since there is no controlling power or instrument in these cultural memories, they would depend on media and politics. Asman sees the power of art in there. That is, in the time of the crisis of cultural memories, it appears the art. In this case, artistic memorial works as a kind of reminder of memory and oblivion. The struggles in memorries which are arisen after the event of Sewol ferry in the 16th of April in 2014, show us ironically, that we are facing the crisis of the memories in these days. This study considers the tragedy of Sewol ferry as an event in the notion of Alain Badiou. This event gave rise to subjects, who mourned in the open square like Kwang-wha-moon and the city hall, and it caused them banded together. Especially,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way how contemporary Korean films remember the Sewol ferry event and save it as the cultural memory. This study analyzes Tunnel(2016) as a proper response to the ‘crisis of memories’ in this time. In this point, Tunnel uses the narrative structure and pictorial images as a strategy to struggle to the oblivion or the crisis of memories.

목차

1. 들어가며: 세월호라는 ‘사건’과 한국영화
2. 문화적 기억의 위기와 세월호
3. 세월호 없는 세월호 영화 <터널>
4. 영화 <터널>의 기억작업
5. 맺는말: ‘낭만적 거짓’과 ‘영화적 진실‘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은. (2017).동시대 한국영화가 세월호를 기억하는 방식. 영화연구, (), 293-326

MLA

최은. "동시대 한국영화가 세월호를 기억하는 방식." 영화연구, (2017): 293-3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