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Technological Turn in the Historiography of Cinema: Techno-Cinema and Techno-Cinema-Art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정찬철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72호, 5~3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첫 번째, 본 논문은 어떠한 이유에서 영화 역사의 기술적 전환이 오늘날 디지털 영화 시대에 들어서 요구되는지를 설명하며, 기술적 전환이 던지는 영화, 기술, 그리고 역사에 관한 중요한 물음의 갈래를 소개한다. 둘째, ‘영화기술사’에서‘기술적 영화사’로의 기술적 전환을 위해 그 동안 특별한 구분을 하지 않았거나, 부수적인 것으로 간주된 ‘기술로서의 영화’를 하나의 단일한 개념으로 그리고 타자화된 개념으로 바라보는 인식적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도구 혹은 수단의 관점으로 영화와 예술에 개입한 기술에서 벗어나, 앞서 질문했던 것처럼, 예술, 문화,사회적 매체로서 영화의 개념에 차이와 단절을 창출한 요인으로서 기술에 대한 이해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영화의 역사에 대한 기술 결정론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기술적 전환’을 위한 두 가지의 학문적 실천으로 ‘테크노- 시네마’와 ‘테크노-시네마-아트’를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technological turn in the historiography of cinema is here introduced as a way to re-investigate ‘what is cinema?’, the ontological question concerning cinema, not only in terms of its aesthetic values, but more rather in terms of its technological identities. The concept offers an insight into how to think cinema archaeologically from its beginning to its transition to post-cinema in the age of algorithmic reproduction. Among others who suggested various theories, methods, and ideas on the definitions of cinema as technology and art, which is conceptualized as techno-cinema and techno-cinema-art, this paper focuses on the French filmmaker and theorist Jean Epstein’s guidance. Based on Epstein’s ideas on cinema as technology and art, this paper will explore how to do the technological turn in cinema studies.
목차
1. 서론
2. 영화역사의 기술적 전환
3. 영화의 기술적 역사 쓰기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식민지 조선에서 테크니컬러 상영에 관한 연구
- 영화역사학의 기술적 전환
- 동시대 한국영화가 세월호를 기억하는 방식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알리스 기(Alice Guy)의 ‘기술적 작가성’
- 디지털 이미지 시대의 주체와 객체의 변증법적 관계
- 얼굴 미학을 통한 트랜스 아이덴티티의 표상
- 초기 영화 속 속도의 테크놀로지, 그리고 기술 문명의 표상
- 실재성을 구현하는 영화의 가상 이미지 연구
- 바쟁과 텔레비전: 영화와 텔레비전 스타일
- 영화연구 제72호 목차
- 탈냉전시대 영화 <역도산>이 말하지 않은 것들
- 신상옥이 추구한 할리우드 표상과 장르적 관습
- 영화 속 인공지능의 역할 변화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