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모를 통해 본 장애 영유아 교육과 보육의 실태 및 부모 인 식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The Current Situation on Institution of Special Education/ Care programs through Opinions of Parents of infants and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안수경 김성애 김종무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7권 제1호, 1~1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3.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 영유아를 위한 교육과 보육 관련의 보다 효율적인 국가차원의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장애 영유아 부모를 통한 관련기관의 실태와 의견을 알아보는 것이다. 구체적 연구목적으로는 자녀의 장애 서비스 관련 기관 이용실태와 기관 운영에 관한 의견을 알아보는 것과 방과 후 보육의 필요성에 대한 실태 및 의견, 그리고 장애 영유아 교육/보육에 관한 주요 과제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은 세 가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6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어린이집과 유아특수교육 공교육기관에 다니는 자녀를 둔 장애 영유아 부모 2511명이 그 대상이다.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많은 부모들이 장애 자녀의 교육 및 보육 서비스 시간의 연장에 대한 요구보다는 자녀에게 보다 긴 서비스 시간을 원한다. 즉, 보육기관에서든 교육기관에서든 단순한 보육 보다는 보다 질 높은 치료교육 서비스와 특수교육 서비스를 요구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인적자원부와 기타 장애 관련 부처와의 연계 방안을 내는 것과 아울러 치료교육과 통합교육 확대를 근간으로 하는 공교육체제의 강화를 장애영유아 교육 및 보육의 최상의 선결과제로 제안한다. 이어서 교육기관의 장애 영유아들의 보육 요구 충족 및 보육기관 장애 영유아들의 특수교육 요구 충족을 위한 기관연계 방안 마련을 제안한다. 그리고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장애의 선별․진단․의뢰의 국가 주도와 장애인 생애 전체가 요구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의 지역사회 통합 체계를 이끌 새로운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제안으로 인해, 국가는 장애자녀를 둔 부모에게 단지 ‘더 오래 맡아줌으로써 학부모가 자신을 위해 가질 고유한 시간을 마련하는 길’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장애 영유아에게는 보다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부모에게는 ‘보다 질 높은 가족과 개인의 생활 보장’을 받을 권리 찾아주는 방안 모색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been done for presenting some direction of raising the accessibility to the early special education services of infants and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and the accessibility to the caring services of their famil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pinions of parents of infants and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on three different parts of 16 questions: those are current attending Institution for child's education or care, situations of the Institution's programs, and opinions on the urgent tasks of education or care for their children. Through this investigation, we proposed the following strategies: The first, National Organizations that take the whole service responsibil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to establish a innovative system for the promotion of early findings of disabilities and early starts of special education. The second, special education and related services in school systems and care systems have to be enhanced with growth of service quality for infants and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The third,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welfare have to support and certify reciprocally to solve the problem of after-school caring and therapies for infants and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We expect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given good motivation of providing best strategies of education and car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uch as effective usage of national budgets, establishment of substantial laws related free education and free caring, healthy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enlargement of social participation of their families.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및 해석
4. 결론 및 종합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수경,김성애,김종무. (2005).부모를 통해 본 장애 영유아 교육과 보육의 실태 및 부모 인 식에 관한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7 (1), 1-18

MLA

안수경,김성애,김종무. "부모를 통해 본 장애 영유아 교육과 보육의 실태 및 부모 인 식에 관한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7.1(2005): 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