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한 환경전환교육프로그램
이용수 0
- 영문명
- Transenvironmental Programing for inclusion of the handicapped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희규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7권 제1호,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3.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a framework based on Anderson-Inman's(1986) transenvironmental programming model for preparing students to function successfully in integrated settings. Students moving from a self-contained classroom to the regular class setting within the same school must learn to adjust to difficult instructional formats, curriculum demands, teaching styles, behavioral expectations, physical designs, and students socialization patterns. Similarly, students moving from a special day school to an integrated program within the community's public school system will encounter new rules,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personnel. Thus learning the rules and schoolwide procedures prior to entering the new school can help avoid a potentially confusing and troublesome adjustment to the new school. It is essential, then, that the students be prepared for entry into the mainstream after placement team has decided a students is ready to make the change.
목차
Ⅰ. 서론
Ⅱ.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한 환경전환교육프로그램
Ⅲ.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에서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특징
- 학습장애 학생의 실력구축/구사를 위한 사회성기술 전략의 이론적 탐색
- 컴퓨터 보조 수업이 발달장애 유아의 사물변별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임 특수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
- 단순 언어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작업기억 및 음운 인식 특성연구
- 청각장애학생의 문해 능력과 가정 학습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
- 통합교육에서의 주요 쟁점과 실천과제 고찰
- 유아특성 및 통합교육상황에 따른 일반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 및 태도
- 부모를 통해 본 장애 영유아 교육과 보육의 실태 및 부모 인 식에 관한 연구
- 바람직한 통합교육을 위한 학교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 또래중재 놀이활동이 자폐장애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미술치료가 유아의 모자분리불안해소 및 문제행동 개선에 미치는 효과
-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사회적 기술 사정 도구의 적용
- 장애학생 체험활동 실태에 관한 연구
- 행동장애아동의 행동문제 특성에 기초한 사회·정서발달 중재프로그램모형
-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한 환경전환교육프로그램
- 워드프로세서와 웹 메일을 이용한 쓰기 훈련이 쓰기 학습장애 아동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