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육학에서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특징
이용수 0
- 영문명
- The Characteristics of Phenomenological Researching in Special Education: oriented on the educational studie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숙정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7권 제1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3.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근대 학문의 위기감에서 탄생한 현상학처럼, 교육학의 질적 연구방법론 중의 하나인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배경에는 실증주의 및 자연주의적 연구방법이 내걸었던 합리성과 정확성의 허구와 한계에 대한 인식이 바탕하고 있다. 특히 특수교육 연구에 있어서 현상학적 연구방법은 소위 “장애로 인한 문제행동에 대한” 양적인 접근으로 인해 드러나지 않았거나 제외되었던 인간 행동의 다차원성과 그 주관적 의미들을 밝혀내는데 기여하며, 나아가 특수교육적 맥락에서 상호 주관적 관계, 나아가 인간 행동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가능케 한다.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대한 실증주의적 비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방법이 특수교육학에 기여하게 되는 학문적 풍부함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현상학적 교육연구 방법의 핵심적 특징을 “현상학적 환원”과 “본질직관”이란 절차 중심으로 구체적 사례를 통해 소개했으며, 이러한 접근이 특히 중증장애 아동과의 교육에 제시하는 윤리적 시사점을 논의했다.
영문 초록
How the phenomenology as philosophy originated from the need of modern science,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in the pedagogy as one of the famous qualitative method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the positivism and the naturalism reach at the ethical borders with their theoretical nature and could not put in a claim for any absoluteness as research method.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is especially capable to discover the overlooked multiple dimensions of human behaviors. It is certain that the special educational research in its quantitative orientation disregarded the behavior facets of human being and their subjective meaning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reduces these people to their disabilities and problem behavior. The phenomenological method points out the inter subject relationship in the special educational context and makes integral understanding of the human behavior possible. Despite the critic on the part of the positivism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this work assumes that this method can enrich the special education in Korea enormously. For this, the central points of this method, “phenomenological reduction” and “essential intuition” are described closer and clarified with the help of concrete example. Furthermore, it is pointed out the ethical consequences of this method on the education of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목차
Ⅰ.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에서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특징
- 학습장애 학생의 실력구축/구사를 위한 사회성기술 전략의 이론적 탐색
- 컴퓨터 보조 수업이 발달장애 유아의 사물변별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임 특수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
- 단순 언어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작업기억 및 음운 인식 특성연구
- 청각장애학생의 문해 능력과 가정 학습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
- 통합교육에서의 주요 쟁점과 실천과제 고찰
- 유아특성 및 통합교육상황에 따른 일반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 및 태도
- 부모를 통해 본 장애 영유아 교육과 보육의 실태 및 부모 인 식에 관한 연구
- 바람직한 통합교육을 위한 학교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 또래중재 놀이활동이 자폐장애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미술치료가 유아의 모자분리불안해소 및 문제행동 개선에 미치는 효과
-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사회적 기술 사정 도구의 적용
- 장애학생 체험활동 실태에 관한 연구
- 행동장애아동의 행동문제 특성에 기초한 사회·정서발달 중재프로그램모형
-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한 환경전환교육프로그램
- 워드프로세서와 웹 메일을 이용한 쓰기 훈련이 쓰기 학습장애 아동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