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또래중재 놀이활동이 자폐장애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Peer Intervention Play Activities on the Positive Social Actions of Autistic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미경 천현주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7권 제1호,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또래 아동들이 주도하는 놀이 활동 속에서 자폐장애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서 각 놀이 활동시 대상 아동이 보인 친사회적 행동의 빈도수를 점검하였고, E-CLAC에 의한 대인관계와 일반적 행동 변화를 사전․사후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또래 아동의 사회적 행동의 시도가 자폐장애 아동의 사회적 반응을 증가시킴으로서 자폐장애 아동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가시켰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ease the positive social actions of the autistic children through the peer intervention play activities. Through this study, I tried to find the effect of the peer intervention play activities on a) the positive social actions; Sharing, Play organizer, Assistance, Verbal/Vocal, Motor/Gestural, b) the personal relations, c) the general actions. An autistic child getting early education in an annex playing therapy room to Mr. J's neuropsychiatric clinic and three normal children who go to T. kindergarten are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as intervention players. During 4 weeks,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for 50 minutes five times a week. The intervention program consisted of five play activity fields; stacking bloces, singing and dancing, playing with ball, playing with clay, an optional playing. ABA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First, the autistic child was improved in positive social actions through peer intervention play activities especially he was improved in assisting and sharing actions. Second, the autistic child made progress in the personal relations especially there were positive reactions in relationship with his peers. Third, the autistic child was also improved in general actions through peer intervention in particular the imitation action by directions was made progress. With this study, we can reach a conclusion; The peer intervention play activities are effective to improve the positive social actions of autistic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에서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특징
- 학습장애 학생의 실력구축/구사를 위한 사회성기술 전략의 이론적 탐색
- 컴퓨터 보조 수업이 발달장애 유아의 사물변별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임 특수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
- 단순 언어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작업기억 및 음운 인식 특성연구
- 청각장애학생의 문해 능력과 가정 학습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
- 통합교육에서의 주요 쟁점과 실천과제 고찰
- 유아특성 및 통합교육상황에 따른 일반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 및 태도
- 부모를 통해 본 장애 영유아 교육과 보육의 실태 및 부모 인 식에 관한 연구
- 바람직한 통합교육을 위한 학교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 또래중재 놀이활동이 자폐장애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미술치료가 유아의 모자분리불안해소 및 문제행동 개선에 미치는 효과
-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사회적 기술 사정 도구의 적용
- 장애학생 체험활동 실태에 관한 연구
- 행동장애아동의 행동문제 특성에 기초한 사회·정서발달 중재프로그램모형
-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한 환경전환교육프로그램
- 워드프로세서와 웹 메일을 이용한 쓰기 훈련이 쓰기 학습장애 아동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