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선천성 청각장애아동의 청지각 발달에 미칠 수 있는 요인 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The Study on auditory perception ability for Congenitally hearing impaired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허명진 최성규 이상흔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8권 제4호, 55~7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선천성 청각장애아동은 태어나면서부터 청력손실로 일부 소리에 대해 청각적 피드백을 받지 못한다. 즉, 언어적인 자극에 대한 청지각의 기능이 떨어져 시지각적인 인지능력에 의존하여 의사소통하게 된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오면서 인공와우의 개발로 인하여 선천성 청각장애아동에게도 충분한 청각적 자극을 보상받을 수 있게 되었고 청각장애아아동의 청지각적 영역에도 변화가 나타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선천성 청각장애아동이 인공와우를 이식받게 되면서 아동의 청지각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들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 인공와우 장치가 갖고 있는 변인뿐 아니라 아동이 갖고 있는 개별적인 변인을 고려해서 고찰해 보았으며, 이러한 고찰은 선천성 청각장애아동의 뇌의 활성화와 연결시켜 탐색해 보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선천성 청각장애아동의 청지각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을 제시해 두었고 이를 근거로 교육적 접근이 용이해 질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congenitally hearing impaired children have problem of auditory perception at environment, due to auditory defect. This auditory defect of very young children was bringing about language delay, voice and resonance disorder and articulation disorder. Cochlear implants are able to restore some degree of hearing to deafened individuals; however implant users are particularly susceptible to background noise. To improve of auditory perception ability for congenitally hearing impaired children, this study was inquired into affected factors of cochlear implant devise and individual cause. These include; 1) development of auditory perception ability for hearing children, 2) change of auditory perception ability for congenitally hearing impaired children through previous study. Research is continuing to improve the design of the sound processors used with cochlear implants. This is expected to continue to categorical perception about auditory for congenitally hearing impaired with cochlear implant.
목차
Ⅰ. 서론
Ⅱ. 건청 아동의 청지각 발달
Ⅲ. 청각장애아동의 청지각 발달
Ⅳ. 맺은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 요구아동의 총체적 언어교육 연구방법 분석
- 교육과정중심측정 원리에 기초한 학습장애아동의 중재반응 특성 분석
- 스크립트 문맥을 이용한 역할놀이가 초등학교 학교부적응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 게임놀이치료가 방임된 아동의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 기능평가를 통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장애아동의 문제행동과 과제참여 행동에 미치는 효과
- 근거이론에 의한 장애 여대생의 생활 경험 분석
- 미국 통합교육의 역사
- 사회극화놀이가 정신지체아동의 어휘력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 Implications of Systems of Care Approach for Children with Serious Emotional Disturbance: Review on its assessment modality
- 감각통합프로그램이 뇌성마비유아의 감각통합능력 및 신변처리능력에 미치는 효과
- 선천성 청각장애아동의 청지각 발달에 미칠 수 있는 요인 고찰
- 매체속성이론을 통한 특수교육 분야 매체 연구방법의 비판적 검토와 향후 연구 방향
- 시각장애 영·유아의 사정에 대한 연구 동향
- 특수학급교사의 직무만족도
- 그래픽조직자전략이 쓰기학습장애 학생의 작문능력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플라톤의 「고르기아스」: 수사술과 논박
- ‘자기 형성’에 관한 도덕교육의 철학적 기반 탐색: 「중용」(中庸)의 ‘성’(誠)과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의 ‘자기 진실성’ 개념을 중심으로
- 동서양 사상에 기반한 인성교육 방향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