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Implications of Systems of Care Approach for Children with Serious Emotional Disturbance: Review on its assessment modality

이용수  0

영문명
정서장애 아동을 위한 체계적 보호 접근(Systems of Care Approach)의 함의: 사정(Assessment) 모형의 고찰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유서구 김성천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8권 제4호, 213~23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서장애 아동을 위한 통합적 서비스의 일환으로 미국에서 호응을 얻고 있는 체계적 보호 접근(systems of care approach)과 그 사정 모형의 특성을 소개하고, 이를 기존의 사정 모형들과 비교함으로써 동일한 대상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한국의 현장 실무자들과 교육현장에 함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문헌연구를 통해 4 가지의 사정 모형과 체계적 보호 접근의 사정 모형을 구분하여 제시하였고,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사정 모형이 정서장애 아동을 돕는 실천현장에 도입되어야 하는 필요성과 당위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features of systems of care approach and its assessment modality,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Korean society to make it available for serving children with serious emotional disturbance(SED). Focused on assessment modality, this study categorized and compared five different assessment models that have dealt with children with SED.Authors' discussion suggests that the assessment model of systems of care approach falls into a comprehensive model, which is quite unique from other traditional assessment models. The study highlights the fact that a balanced emphasis (integrating both a pathological paradigm and a strength-based perspective) is necessary and that a comprehensive approach is a better practice to assess the target population, to design coordinated services, and to evaluate the outcomes of the intervention. Implications of the study for clinicians and educators are also discussed.

목차

Ⅰ. Introduction
Ⅱ. Systems of Care Approach
Ⅲ. Assessment Models for Children with SED
Ⅳ. Discussion and Implica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서구,김성천. (2006).Implications of Systems of Care Approach for Children with Serious Emotional Disturbance: Review on its assessment modality. 특수아동교육연구, 8 (4), 213-236

MLA

유서구,김성천. "Implications of Systems of Care Approach for Children with Serious Emotional Disturbance: Review on its assessment modality." 특수아동교육연구, 8.4(2006): 213-2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