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합교육의 성공적 이행을 위한 교사의 역할
이용수 0
- 영문명
- Teacher's Role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박영균 이근매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1권 제2호, 277~29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통합연구의 성공적 이행을 위해 교사들에게 요구되는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수아동의 통합교육은 아직도 논쟁이 있는데 그 이유는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통합이 교육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뿐 아니라 인간의 개인적 성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완전한 형태의 통합교육으로까지 발전시키지 못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현실적 문제점을 해결하여 통합교육이 성공하기 위해 무엇이 가장 시급한 문제인지 밝히고, 그 중에서 장애아동 교육에 참여하는 교사의 역할을 개선하고 재정립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시사점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교사들에게 요구되는 역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장애아동 통합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지만 특수아동 교육에 있어 세계적 추세인 통합교육을 실행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변인의 하나라 할 수 있는 교사의 역할이라는 변인에 대해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여러 연구의 결과에서 제시되었듯이 성공적인 장애아동 통합교육은 다양한 요인이 갖추어져야 하는데, 그 중에서도 교사변인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연구의 결과 학교 교육 현장에서 장애아동 통합교육은 무엇보다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사이의 협력, 교수방법과 교수매체,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교육과 연수, 교사의 자질과 역할과 같은 요소가 잘 확보되어야 성공할 수 있다.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은 피할 수 없는 세계적 추세이며 학교 현장에서 매우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다. 장애아동 교육을 인권적 차원에서 생각하게 된 것도 이와 같은 글로벌 사회의 패러다임 전환과 깊은 관계가 있다. 교직은 전문적 지식이 요구되는 분야이기 때문에 교직을 전문직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특수교사는 전공 영역에서 장애학생 지도에 직접 서비스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전문지식을 통합교육의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도 함께 갖추어야 한다.
영문 초록
Inclusive education is still a matter of controversy among educators. It is because inclusion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s closely related with the aspect of educational values as well as individual growth. However, we need to improve quality education as well as quantity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classroom. Inclusive education has not yet developed to a state of full inclusion in Korea. According to many reliable research findings, effective inclusion needs diverse factors. Among them, teacher factor has critical impact on the success of inclusive education. Inclusive education can be a success when cooperative work between special teachers and regular teachers occur within the school. Teaching methods and mediating tools, pre-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on inclusion, teacher qualities and roles, etc. are also to be assured for the success. At this moment, inclusive education of disabled children is a global trend that are inevitable, and being implemented extensively in Korean schools.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verse disabilities should be considered from the point of human rights, and this is connected with paradigm shift in our changing global society. Teaching profession is not an easy work that requires specific and professional knowledge. Special teachers' fundamental role is teach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directly, however, they also need to be ready to serve for the expansion of quality inclusion through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선행연구 분석
Ⅳ. 연구결과 및 시사점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 장애통합교육보조원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통합교육 및 특수학급운영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 통합교육의 성공적 이행을 위한 교사의 역할
-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과학과 교육과정 조정에 관한 질적 연구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장애에 대한 인식과 의사소통장애아동의 교육지원 요구 조사
- 정신지체 특수학교 개별화교육운영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 실태
- 지체부자유아 부모가 지각하는 조부모 지원 특성 연구
- ADHD를 가진 아동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어머니 특성 및 자녀 특성과의 관계
- 장애학생들과의 또래교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일반 고등학생들의 인식과 경험
- 지적장애아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대처방식
-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진로교육 실태 및 교사의 인식
- 발달장애 대학생의 여가활동 실태 및 선호도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