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적장애아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대처방식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Stress Levels and Coping Mechanisms of Par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조인수 이경아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1권 제2호, 113~13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지적장애아를 양육하면서 겪는 부모의 스트레스 정도와 대처방식,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식간의 상관을 알아보는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소재 특수학교학부모 108명이다. 연구결과는 첫째, 지적장애아 부모의 스트레스는 아동 및 예후로 인한 스트레스가 가장 높고, 사회·경제적 스트레스, 배우자 및 가족관계, 신체적, 아이가 주는 용기 순으로 나타난다. 배경변인에 따른 스트레스 수준은 어머니보다 아버지가, 종교가 없을 때, 자녀가 여아일 때 스트레스 수준이 높다. 둘째,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정서적 진정대처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배경변인에 따른 대처방식은 어머니보다 아버지가, 학력이 낮을수록, 종교가 있을 때, 아동의 장애가 경도이고 남아일 때 대처수준이 높다. 셋째,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식 간에는 비교적 상호 관련성을 보인다. 부모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소극적 철수, 정서표출, 동화(양보), 체념, 자기비탄, 정서적 지원추구의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ents' stress and their coping mechanisms by using the Parenting Stress Scales by Her Jung Ok(2007) and the Multidimensional Coping Scale by Cheon et al(1994). The conclusions drawn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ress of par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varies with meaningful differences with respect to the background variables about stresses : parents' gender, religious belief, and children's gender.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 the significantly high levels in the area of children's situation. Second, parents' academic background, gender, and religious belief, made a difference in the stress-coping mechanisms of the par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rd, there are 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total stresses and stress-coping mechanisms of the par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owever, the stress and stress-coping mechanisms of the par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no correlation in general. Thus, it is recommended that a further research be conducted to obtain desired conclus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 장애통합교육보조원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통합교육 및 특수학급운영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 통합교육의 성공적 이행을 위한 교사의 역할
-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과학과 교육과정 조정에 관한 질적 연구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장애에 대한 인식과 의사소통장애아동의 교육지원 요구 조사
- 정신지체 특수학교 개별화교육운영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 실태
- 지체부자유아 부모가 지각하는 조부모 지원 특성 연구
- ADHD를 가진 아동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어머니 특성 및 자녀 특성과의 관계
- 장애학생들과의 또래교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일반 고등학생들의 인식과 경험
- 지적장애아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대처방식
-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진로교육 실태 및 교사의 인식
- 발달장애 대학생의 여가활동 실태 및 선호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