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신지체 특수학교 개별화교육운영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 실태

이용수  0

영문명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The IEP Committee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김동희 박희찬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1권 제2호, 257~27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7학년도 정신지체 특수학교 개별화교육운영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실태를 조사한 것으로 전국의 92개 정신지체 특수학교 중 76개 학교의 연구부장이 설문 조사에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로 설문에 참여한 정신지체 특수학교 중 약 96%에서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한 팀의 개별화교육운영위원회를 구성하고 있었고, 위촉되는 의원으로 교감, 학교장, 연구부장, 학부모, 현재 담임교사, 교무부장 등이 있었다. 개별화교육운영위원회 운영사항으로,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회의는 86.3%의 학교에서 실시하였으나 개별화교육계획 평가 회의는 58.9%의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그 비율이 낮았으며, 회의 개최시기는 대부분의 학교가 수립 회의는 신 학년 시작 전ㆍ후에, 평가 회의는 매 학기말 전ㆍ후였다. 그리고 회의에서 논의되는 사항으로 수립 회의에서는 교육계획 및 일정 수립, 작성 교과 영역 및 내용 선정, 학생의 현재 수행수준 및 선수학습 능력 파악 등이, 평가 회의에서는 개별화교육계획 평가서 작성 및 기록에 관한 내용, 교육 목표 달성정도 확인 등이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제언이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the IEP committee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head teachers of the research department in the 76 special school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bout 96 percents of the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had a team of IEP committee. The major IEP committee members were school principle, assistant principle, head teacher of the research department, parents, classroom teacher, head teacher of the educational affairs department. About 86.3 percents of the schools had IEP developing meeting but about 58.9 percents of the schools had IEP evaluating meeting. The meeting for developing an IEP was held about new term season, and the meeting for evaluation of the plan was held about last time of the semester. The issue of meetings for developing IEP were formulating educational plan, scheduling, choosing the contents & constituents, and evaluating present level in performance. And the issue of meetings for evaluating IEP were writing assessment of the IEP, documentation, and checking the achievement of educational goals and objective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follow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희,박희찬. (2009).정신지체 특수학교 개별화교육운영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 실태. 특수아동교육연구, 11 (2), 257-276

MLA

김동희,박희찬. "정신지체 특수학교 개별화교육운영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 실태." 특수아동교육연구, 11.2(2009): 257-2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