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통합교육 및 특수학급운영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Study on special clas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perceptions of integrated education and special class operation: focusing on the elementary schools having special classes in Busan area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김기흥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1권 제2호, 17~5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산지역 소재 초등학교에 설치되어 있는 특수학급을 중심으로 통합교육과 특수학급 운영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 5명과 통합학급교사 5명 등 총 10명의 인식을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하여 살펴봄으로서 통합교육의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네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는데, 교육의 개념, 통합교육의 개념, 특수학급운영에 관련된 사항, 통합교육 및 특수학급의 운영상 문제점과 개선책에 대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중요한 몇 가지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교육의 개념을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준비과정, 인간행동의 변화, 이타주의의 실현 등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장애아에게 교육은 비장애아동과 일반적으로 같은데, 특히 장애아동에게 교육은 생존과 자립의 문제, 사회성 함양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교사들은 통합교육을 동일한 공간 및 다양한 교육방법, 상호적 관계성, 교육기회의 평등성으로 인해하고 있다. 통합교육의 효과로는 장애아동에게는 모방학습, 비장애아동에게는 인성교육을 각 각 꼽고 있다. 우리나라의 통합교육에 대하여 시기상조를 비롯하여 통합교육과정, 통합반교사 등에 대하여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학급의 운영에 있어서 장애아동은 교사들의 고통분담 방식으로 배치되고, 통합반 교사는 제비뽑기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특수학급은 장애의 다양화와 중증화로 변화고 있으며, 통합교육 교과목은 국가차원의 관련 규정의 부재로 인한 교사 간 책임 및 역할의 혼란, 통합반교사의 역량부재, 부정적이고 소극적인 태도 등으로 인하여 주로 예체능교과목 위주로 형식적이며 질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마지막으로 통합교육 및 특수학급 운영의 문제점으로는 통합반 교사의 인식부족, 통합 교육과정의 법적, 행정적 미비. 특수학급교사의 소극성, 권한의 제한성, 장애아의 학습준비기술의 결여 등을 언급하고 있으며, 과제로는 통합반교사의 인식개선을 비롯하여 그들에 대한 다양한 지원책 마련, 통합교육과정의 법적 명문화, 장애아부모의 적극적인 협조를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integrated education, by examining special clas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perceptions of integrated education and special class operation, focusing on the special classes that are established at th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Busan area. The study subjects were 10 persons including five special class teachers and five integrated class teacher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on the subject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revealed that it was very urgent to improve the selection procedure of teachers, who would be in charge of integrated classes that had handicapped children, and to make support plans. Appropriate qualification criteria for teachers in charge of integrated class and various support plans for them must be considered. Secondly, along with the preparation of legal or administrative regulations, basic environments must be provided to enable integrate education program to be applied systematically and practically. This way, the causes of various problems such as conflicts and confusions that arise among teachers or, from the responsibilities and roles of teachers and parents, regarding integrated education and special class operation in education fields, can be elimina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기흥. (2009).통합교육 및 특수학급운영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1 (2), 17-51

MLA

김기흥. "통합교육 및 특수학급운영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1.2(2009): 17-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