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교과교육연구회 운영에 대한 대표교사의 경험

이용수  0

영문명
Experiences of Teacher Representatives on the Management of Research Groups of Curricula Education for Teachers of Special Classes in Middle and High School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김민제 이미숙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8권 제2호, 269~29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교과교육연구회의 대표교사로서의 경험을 가지고 있는 특수학급 교사 4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특수학급 교사에게 교과교육연구회는 어떤 의미가 있으며, 교과교육연구회의 활동이 특수학급 교사에게 미친 영향을 무엇이며, 교과교육연구회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대표교사의 역할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교과교육연구회 대표교사로서의 경험이 있는 중·고등학교 특수교사 4명과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학급 교사에게 교과교육연구회는 꼭 필요한 것이었는데, 특수학급의 경우 혼자서 모든 것을 감당해야 하고 특수교사 간의 소통이 부족하기 때문에 교과교육연구회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하였다. 둘째, 교과교육연구회의 대표교사와 구성원들은 교과교육연구회를 통해 지역 특색에 맞는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특수학급 운영 가이드북을 개발하는 활동을 통해 교과교육연구회를 함께 만들어가고 있었다. 셋째, 대표교사와 구성원들은 교과교육연구회를 통해 서로 정보와 경험을 공유하고 특수교사로서의 동질성과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로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교과교육연구회를 운영하는 대표교사는 구성원 간의 원활한 관계 형성과 결과물 산출을 위해 주도적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다. 결론: 대표교사는 보다 성공적인 교과교육연구회를 운영하기 위해 경험을 통해 문제해결능력과 원만한 관계유지를 위한 포용력, 그리고 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s of research groups of curricula education for the teachers in special classes, the effects on the teachers by the their activities in research groups of curricula education, and the roles of teacher representatives to manage those groups successfully. Method: The study interviewed with four teachers who had the experiences as teacher representatives in the groups. Results: First, the research groups of curricula education were necessary for teachers in special classes because they needed to bear everything and the lacks of communication among special class teachers. Second, the teacher representatives and members re-developed curriculum programs and guidebooks for running special classes effectively by considering regional conditions. Third, through these study groups, they shared information and experiences, and they confirm their homogeneity and identity as special teachers. Finally, the teacher representatives had some burdens of core roles for formation of good relationships among members and excellent output of the groups. Conclusion: The teacher representatives must be equipped with problem solving skills based on experiences and know-hows. As well, they should present the proper directions to proceed for the research groups and have the roles of motivating for active and positive participation of the memb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제,이미숙. (2016).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교과교육연구회 운영에 대한 대표교사의 경험. 특수아동교육연구, 18 (2), 269-290

MLA

김민제,이미숙.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교과교육연구회 운영에 대한 대표교사의 경험." 특수아동교육연구, 18.2(2016): 269-2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