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 관련 용어와 개념의 재고
이용수 0
- 영문명
- Reconsidering terminologies and concepts related to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허승준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8권 제2호, 99~12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편견과 선입견의 축적으로 차별과 낙인의 근거가 되고 있는 장애 관련 용어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가치중립적 대안 용어를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방법: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RISS, DBPIA, KISS 등의 검색엔진을 활용하여 문헌을 수집하였으며, 장애(disability)를 중심어로 두고 차이(difference), 명명(labeling), 차별(discrimination), 낙인(stigma) 등을 관련어로 연결하여 검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육지원 대상을 선정할 때, 장애라는 용어를 필연적으로 잉태하는 ‘능력’ 대신에 ‘지원’이라는 용어와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요구’에 그 기준을 두어야 한다. 둘째, 기존의 특수교육대상자 분류 명칭에서 ‘장애’라는 용어 대신 ‘지원’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특수교육’이라는 용어는 ‘교육’의 범주 내에서 제공되는 ‘개별화 지원’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안한 용어와 개념이 사용되는 데에는 여러 가지 한계가 있겠지만, 특수교육 전문가가 아닌 장애당사자인 장애학생을 위해서 긍정적인 적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some alternative terminologies and concepts related to disabilities instead of traditional terminologies which have been accumulated by various prejudices and preconceptions. Method: This study employed a literature review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o review the literature, this study used search engines such as RISS, DBPIA, KISS, etc. and used the word of 'disability' as a main keyword, and the word of 'difference, labeling, discrimination, and stigma' were used as the related keywords.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ree suggestions: ① the term ‘need' should be used for the criterion to classify the subject of special education instead of the term 'ability'; ②. the term 'support' should be used to label the subject of special education instead of the term 'disability'; ③ the term 'individualized supports' should be used instead of the term 'special education'. Conclusion: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use suggested the alternative terminologie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t is required further positive examination not for the professional but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장애 관련 용어에 대한 대안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사의 ‘따뜻한 교육공동체’ 형성을 위한 요구분석
- 장애 관련 용어와 개념의 재고
- Effects of Arts-Based Vocational Training Using Video Modeling (AVM) for Adolescents with ASD on Their On-and Off: Task Behaviors
- 장애학생들의 음운인식 및 단어재인능력 향상을 위한 읽기중재
- 통합교육 연수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지원요구
- 다문화가정 장애위험 영유아의 발달특성과 교육지원에 관한 보육교사 인식 연구
- 중도장애학생의 보완대체의사소통 평가 목록 우선순위
-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Perspective-Taking in Deaf Children: Differences in Reading Ability
-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교과교육연구회 운영에 대한 대표교사의 경험
-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
-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마음이론과 정서이해 특성
- 청각장애를 위한 대안적 한국어 전달방법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