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사의 ‘따뜻한 교육공동체’ 형성을 위한 요구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Needs analysi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constructing ‘a warm education community’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후희 황순영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8권 제2호, 121~14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따뜻한 교육공동체 형성을 위한 요구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 총 356명으로부터 따뜻한 교육공동체가 되기 위한 필요 수준과 현재 수준을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방법: 첫째, t검증을 통해 필요 수준과 현재 수준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둘째, Borich 요구도 공식을 사용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요구도를 좌표평면을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넷째, 이를 종합하여 최우선 순위 항목과 차 우선순위 항목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공통적으로 발견된 특징은 모든 구성원들이 모두 ‘수평적 의사소통’을 교육공동체가 되기 위해 개선되어야 할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공동체의 핵심적인 구성원 중 하나인 특수교사가 따뜻한 교육공동체 형성을 위하여 어떠한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교육공동체를 실제 구축하는데 유용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duce a suggestion on how to form an education community by conducting a needs analysis on the feedback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forming a warm education community. To achieve this, a total of 356 teachers from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teachers specialized in special education were surveyed on both the critical factors to achieve a warm education community and also the current state of these factors. Method: First through a t-te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the critical factors and the current state of these factors was statistically verified. Second, the priority rank of the factors was established using the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equation. Third, using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factors of requirements were proposed using a 2D coordinate graph. Fourth, the results of the models above were summarized to deduce the primary priority factors and the secondary priority factors. Results: The common factor was that all members for each of the school types perceived “non-hierarchical horizontal communication” as the most critical factor to be improved on to become a warm education communit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provide a set of practically applicable information for how to implement a warm education community at education sites by analyzing the requirements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a core member group of the education community, regard to be critical in forming warm education commun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사의 ‘따뜻한 교육공동체’ 형성을 위한 요구분석
- 장애 관련 용어와 개념의 재고
- Effects of Arts-Based Vocational Training Using Video Modeling (AVM) for Adolescents with ASD on Their On-and Off: Task Behaviors
- 장애학생들의 음운인식 및 단어재인능력 향상을 위한 읽기중재
- 통합교육 연수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지원요구
- 다문화가정 장애위험 영유아의 발달특성과 교육지원에 관한 보육교사 인식 연구
- 중도장애학생의 보완대체의사소통 평가 목록 우선순위
-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Perspective-Taking in Deaf Children: Differences in Reading Ability
-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교과교육연구회 운영에 대한 대표교사의 경험
-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
-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마음이론과 정서이해 특성
- 청각장애를 위한 대안적 한국어 전달방법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