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가정 장애위험 영유아의 발달특성과 교육지원에 관한 보육교사 인식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Daycare Center Teachers’ Perceptions about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Supports for At-risk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이상희 이연우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8권 제2호, 19~4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장애위험 영유아의 발달특성과 교육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조사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천안·아산 지역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 중 다문화가정 영유아 교육경험이 있는 보육교사 14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한 후 장애위험 영유아 교육경험이 있는 교사와 없는 교사 집단으로 구분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 영유아의 전반적인 발달정도에 대해 대부분의 교사들은 언어발달을 또래 유아에 비해 느리게 발달하는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장애위험 영유아 교육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경우, 다문화가정 유아의 기본생활 능력이 또래보다 느리게 발달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장애위험 정도 확인에 있어서 장애위험 영유아 교육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교사 관찰과 체크리스트 사용이 효율적임을 보고하였다. 셋째, 다문화가정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교육 지원에서 겪는 어려움으로 부모와의 의사소통, 부모특성과 가정환경, 교사특성과 보육환경에 따른 제한점 등을 보고하였다. 넷째, 다문화가정 장애위험 영유아의 발달 향상을 위한 교육 방법 및 실제 적용에 관해서 교사의 전문적 기술발달, 전문가와의 협력관계 형성, 교수환경 개선을 위한 지원 등을 요구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효과적인 중재 실행과 교사와 부모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된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aycare center teachers’ perceptions‘about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supports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 The modifi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eachers who had teaching experiences in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working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Asan and Chunan city areas. A total of 14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by dividing teachers with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teaching experiences in at-risk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Results: First, regarding to the general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children, most of teachers perceived that language development is slow compared to their peers. Second,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use of the effective method to identify at-risk child. Third, daycare center teachers responded that the difficulties in educational supports were related to communication problems with parents, parent characteristics, teacher and daycare center environmen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 and implication were suggested in terms of developing programs and implementing interventions for at-risk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희,이연우. (2016).다문화가정 장애위험 영유아의 발달특성과 교육지원에 관한 보육교사 인식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8 (2), 19-44

MLA

이상희,이연우. "다문화가정 장애위험 영유아의 발달특성과 교육지원에 관한 보육교사 인식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8.2(2016): 19-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