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 및 초등 저학년 아동의 수감각 특성
이용수 0
- 영문명
- Characteristics of Number Sense for Kindergarten and Low Grades Elementary School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정세영 김자경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8권 제3호, 291~31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 및 초등 저학년 아동의 수감각 특성을 밝히고, 수감각 성취가 낮은 학생에게 적합한 교육적 중재방법을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자는 만 5세부터 만 8세까지의 아동 305명으로 이들에게 수감각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감각 검사는 수인식, 거꾸로수세기, 수량변별, 빠진수찾기, 덧셈, 뺄셈, 규칙, 어림으로 구성하였다. 아동의 수감각 점수에 따라 위험, 일반, 우수 세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아동의 연령과 집단, 성별에 따른 삼원변량분석과 사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삼원변량분석 결과, 집단과 연령에서 주효과, 집단과 성별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각 연령대별로 아동은 수감각의 하위영역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점수 차이를 보였다. 사후분석 결과, 만 5세에서는 덧셈과 뺄셈 영역에서 위험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점수 차는 없었으며, 만 6세에서는 규칙에서만 위험아동이 일반아동과 우수아동에 비해 각각 낮은 점수를 받았다. 만 7세에서는 수인식, 수량변별에서 위험아동이 일반아동과 우수아동에 비해 각각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거꾸로수세기에서는 위험아동과 일반아동은 우수아동에 비해 낮은 점수를 보였다. 만 8세에서는 수량변별에서 위험아동이 일반아동과 우수아동에 비해 낮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아동의 연령과 집단에 따라 수감각 발달 수준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며, 낮은 수준의 수감각을 지닌 아동에게 효과적인 중재 및 교수전략을 세우는 데 필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number sense in children aged 5–8 years. Method: The study population comprised 305 children. A number sense test, composed of eight components, such as number recognition, counting backward, quantity discrimination, missing numbers, addition, subtraction, patterns, and estimation was used. Children were classified, by the scores of the number sense test, into at-risk, normal, and over-achieving group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number sense by variables, a three-way ANOVA was used. Scheffé’s method was utilized to control for multiple comparisons. Results: Group and age were found as main effects, and group and gender were found as an interaction effect. Specifically, the scores in different subareas of number sense were affected by age and group classification. In 5-year-old children,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at-risk and normal groups in items of addition and subtraction. In 6-year-old children, the at-risk group displayed lower scores for patterns than children of the normal and over-achieving groups. In 7-year-old children, children in the at-risk group received lower scores for number recognition and quantity discrimination than children of the normal and over-achieving groups. Also children in the at-risk and normal groups received lower scores for counting backward than children of the over-achieving groups. In 8-year-old children, the at-risk group received lower scores for quantity discrimination than the normal and over-achieving groups. Conclusion: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number sense may be used to effectively help children at-risk for mathematical learning disabilities develop number sens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중심 놀이치료가 정서행동장애 위험 유아의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비교
- 장애아동을 위한 무상의 적절한 공교육(FAPE)과 관련한 미국의 판례 분석
- 도식화전략 교수가 자폐성장애 학생의 수학 문장제 문제 해결 수행에 미치는 효과
-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공감피로, 공감만족에 양육유능감이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 2011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중학교 국어교과서 어휘의 빈도 및 등급 분석
- 기초학습 수행평가체제 어휘검사 타당화 연구
- 유아 및 초등 저학년 아동의 수감각 특성
-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
-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직업준비 기술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를 위한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핵심어휘 연구
-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읽기이해력 교수법에 대한 실제와 인식
- 음성산출 기기(SGD)를 포함하는 의사소통 중재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