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1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중학교 국어교과서 어휘의 빈도 및 등급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frequency and grade of Vocabulary in the Korean Language Text book according to revised basic curriculum 2011 for speci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최순지 박성지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8권 제3호, 169~18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2011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교과서 어휘 구성의 특징을 파악하여 장애학생의 어휘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중학교 특수학교 가, 나, 다 권의 어휘 33452개를 빈도분포와 등급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빈도별 분포 분석 결과, 빈도 10회 이상의 고빈도어는 개별어휘수의 14.40%, 누적빈도수의 73.55%를 차지하였고, 빈도 1-2회의 저빈도어는 개별어휘수의 58.39%, 누적빈도수의 9.57%를 차지하여 고빈도어가 반복되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고빈도어 100위까지의 목록을 보면, 용언이 46개였으며, 품사로는 동사가 많았다. (2)등급별 분포 분석 결과, 총 어휘의 55.5%가 A등급 어휘였으며, 고빈도어 50개 중 37개가 A등급 어휘로 구성되어 있었다. (3)품사별 등급 분포를 보면 A등급의 개별어휘는 명사가 동사보다 많았지만, 총 어휘에서 동사가 명사보다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A등급 동사가 자주 반복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개정 중학교 특수학교 국어교과서에 사용된 고빈도어의 대부분이 교육적 가치가 높은 A등급의 어휘로 구성되어,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어휘를 중심으로 일반화가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빈도이면서 A등급 총어휘수가 가장 많은 품사가 동사라는 점은 기존의 명사 중심의 어휘지도에서 동사에 좀 더 초점을 맞추어 지도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vocabulary in the korean text book according to revised basic curriculum 2011 for special education. Method: This study has been analyz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and the grade of vocabulary. Results: (1)Analysis on frequency: the cumulative frequency of upper high frequency vocabulary is 73,55% and the cumulative frequency of low frequency vocabulary is 9,57% Among top 100 vocabularies of the high frequency vocabulary, verbs and adjectives are 46. (2)Analysis on grade of vocabulary: Vocabulary of grade A is 55.53% and among 50 high frequency vocabularies, 37 vocabularies are A grade. (3)Analysis on grade of a part of speech: The grade A is none more than verb of individual vocabulary, but verb is more than a noun of total vocabulary. Conclusion: According to frequency analysis, upper 50% of total vocabularies is Grade A. It means that textbook of mentally retarded is easy to understand and consisted of vocabulary with high-educational value. The point of word class view is the verb a lot of distribution in the high-frequency vocabulary of up to 100 and total vocabularies of Grade A. Therefore, it implies the importance of learning verb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중심 놀이치료가 정서행동장애 위험 유아의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비교
- 장애아동을 위한 무상의 적절한 공교육(FAPE)과 관련한 미국의 판례 분석
- 도식화전략 교수가 자폐성장애 학생의 수학 문장제 문제 해결 수행에 미치는 효과
-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공감피로, 공감만족에 양육유능감이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 2011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중학교 국어교과서 어휘의 빈도 및 등급 분석
- 기초학습 수행평가체제 어휘검사 타당화 연구
- 유아 및 초등 저학년 아동의 수감각 특성
-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
-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직업준비 기술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를 위한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핵심어휘 연구
-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읽기이해력 교수법에 대한 실제와 인식
- 음성산출 기기(SGD)를 포함하는 의사소통 중재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