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읽기이해력 교수법에 대한 실제와 인식
이용수 0
- 영문명
- The Practice and Recognition on Reading Comprehension Teaching Method for Students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Focus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peech - Language Pathologist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미경 한효정 윤형준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8권 제3호,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통합교육 현장에 있는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수가 증가추세이며, 일반교육과정의 접근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 실정에서 이들의 학업능력 배양을 위해서는 읽기이해력 교수는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현장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을 가르치는 특수교사와 언어재활사를 대상으로 읽기이해력 교수의 실제와 인식 및 차이를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읽기이해력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일환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참여자는 특수교사 258명, 언어재활사 153명이다.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읽기이해력 교수법에 대한 인식과 실태는 빈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인구 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사는 언어경험접근법, 의미기반의 교수와 직접교수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또한 실제에서도 적용하고 있었다. 언어재활사는 의미기반의 교수, 이야기 다시말하기, 언어경험접근법, 또래교수 등이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읽기이해력 교수를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사와 언어재활사 집단 간에 있어 읽기이해력 실태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특수교사와 언어재활사 모두 다양한 교수법을 적용하기 위해 시도하고 있었으나, 제한된 경향을 보였다.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읽기이해력 향상을 위해서는 특수교사 및 언어재활사들을 위한 연수 시 체계적인 교수법을 소개하여 현장에서 지도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better ways of teaching reading instruction after finding out difference of status and cognition no teaching reading comprehension for students with autistic spectrum between teachers an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Method: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pecial education teachers(n=258) and speech-language pathologists(n=153). The frequencies were calculated on status and recognition on reading comprehension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with ASD. The difference between special teachers an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were analysed according to variables on status and recognition of reading comprehension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with ASD. Results: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ought strategies for improving ASD reading comprehension were: language experience approach, meaning focused approach and direct instruction which were all applied in practice. Speech-language pathologists thought meaning based approach, story retelling, language experience approach and peer tutoring were important for ASD reading comprehens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on reading comprehension practice according to job. Conclusion: Althoug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worked hard to teach ASD reading comprehension, they applied limited reading comprehension teaching methods. It will be considered systematically reading comprehension instruction to be trained by utilizing special school teacher training and applied for AS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중심 놀이치료가 정서행동장애 위험 유아의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비교
- 장애아동을 위한 무상의 적절한 공교육(FAPE)과 관련한 미국의 판례 분석
- 도식화전략 교수가 자폐성장애 학생의 수학 문장제 문제 해결 수행에 미치는 효과
-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공감피로, 공감만족에 양육유능감이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 2011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중학교 국어교과서 어휘의 빈도 및 등급 분석
- 기초학습 수행평가체제 어휘검사 타당화 연구
- 유아 및 초등 저학년 아동의 수감각 특성
-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
-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직업준비 기술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를 위한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핵심어휘 연구
-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읽기이해력 교수법에 대한 실제와 인식
- 음성산출 기기(SGD)를 포함하는 의사소통 중재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