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초학습 수행평가체제 어휘검사 타당화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Validation Study on 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 (BASA) : Vocabulary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김동일 안예지 이미지 조영희 박소영 고혜정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8권 제3호, 55~7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어휘력은 읽기 이해를 예측하는 주요한 변인이며, 신뢰성 있는 어휘 검사도구를 통하여 아동의 어휘력을 정확히 평가하는 것은 효과적인 중재시행에 있어 필수적인 선행과제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초등학생 119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초학습 수행평가체제 어휘검사의 타당도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초등 교육과정에 기반을 둔 16개의 준거(‘반의어’, ‘동음이의어·다의어’, ‘유의어’, ‘단어의 뜻 찾기’, ‘의미장’, ‘순우리말·한자어·외래어’, ‘문맥 또는 문장에 적절한 단어 선정’, ‘꾸며주는 말’,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말’, ‘순서를 나타내는 말’, ‘접속사’, ‘비유이해’, ‘높임말·예사말’, ‘단어의 발음’, ‘단어의 짜임’, ‘의성어·의태어’)를 바탕으로 교과서 어휘를 분석 및 수록하여, 교육과정에 기반한 어휘검사 42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어휘검사는 초등학교 3학년 119명의 학생들에게 실시하여 검사의 신뢰도, 타당도, 그리고 문항모수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0.819로 높게 나타났으며, 구인타당도 분석 결과, 모형 적합도를 설명하는 각 지표 CFI, TLI, RMSEA가 0.840, 0.806, 0.067으로 나타나 적합한 모형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제언을 기술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Vocabulary is a powerful predictor of reading comprehension; The student’s vocabulary acquisition should be evaluated with a reliable measurement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interventions. Thu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validity of 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 (BASA) : Vocabulary using data collected from 119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Gyeonggi area. Method: This study developed vocabulary measurement which consists of 16 sub-constructs (‘Antonym’, Homonym/Polysemy’, ‘Synonym’, ‘Definition’, ‘Semantic field’, ‘Pure Korean/Sino-Korean/Ioanword’, ‘Cloze’, ‘Descriptive’, ‘Time/Location’, ‘Ordinal’, ‘Conjunction’, ‘Metaphor’, ‘Honorific/Colloquial’, ‘Pronunciation’, ‘Organization’, ‘Onomatopoeia/Mimetic word’) based on elementary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A total of 42 test items were developed by using vocabulary that were selected from Korean textbooks. The 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 (BASA) : Vocabulary was given to 119 third-graders to verify its reliability, validity, and item parameter. Results: The Cronbach's alpha for the overall test revealed to be high enough (=0.819).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lso demonstrated satisfactory model fit (CFI=0.840; TLI=0.806; RMSEA=0.067).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일,안예지,이미지,조영희,박소영,고혜정. (2016).기초학습 수행평가체제 어휘검사 타당화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8 (3), 55-76

MLA

김동일,안예지,이미지,조영희,박소영,고혜정. "기초학습 수행평가체제 어휘검사 타당화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8.3(2016): 55-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