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동중심 놀이치료가 정서행동장애 위험 유아의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비교

이용수  0

영문명
Comparison of Awareness between Mother and Teacher on the Effects of Child-Centered Play Therapy on Social Adjustment of an at Risk Child with Emotional/Behaviroal Disorder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이지경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8권 제3호, 269~28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중심 놀이치료가 정서행동장애의 위험이 있는 유아의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을 비교하고 그들의 평정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1명의 4세 남아를 대상으로 약 9개월에 걸쳐 놀이치료를 실행하였다. 이 기간 동안 남아의 사회적응력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사회적 유능성과 행동평정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 Evaluation)’도구가 사용되었다. 어머니와 교사가 함께 놀이치료 중재 전, 중재 중, 중재 후, 그리고 유지단계까지 네 차례에 걸쳐 평가하였다. 연구 분석을 위해 맨 휘트니 U 검정 (Mann- Whitney U test)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연구의 결과는 아동중심 놀이치료가 유아 A 사회적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간의 유의한 인식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정의 차이는 치료초기와 중기에 있었으나 이 차이는 치료후반기로 갈수록 개선되었다. 결론: 초기에 어머니와 교사 간 놀이치료의 효과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있었으나 정서행동장애의 위험이 유아에게 놀이치료가 영유아교육현장에서 사용된다면 유아의 성장에 유익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교육현장에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의 차이를 개선하기 위한 제안을 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study was aimed to compare a mother’s and teacher’s awareness on the effects of child-centered play therapy on the social adjustment of an at-risk young child with 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s and also to investigate if there are any rating differences between the mother and the teacher. Method: Play therapy was implemented for one 4-year-old boy for a duration of 9 months.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 Evaluation Preschool Edition was used to measure the child’s progress. The mother and the teacher rated 4 times (before, during, after the play therapy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For data analysis,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investigate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the mother’s and the teachers’ ratings on the child’s social adjustment. Results: Different awareness on the effects of child-centered play therapy on social adjustment of young child A between the mother and the teacher was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ratings were found before and during the play therapy interventio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y the end of the therapy and maintenance period. Conclusion: Although the awareness difference regarding the effects of play therapy between the mother and the teacher existed at the beginning period, the usage of play therapy in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etting for an at-risk child with emotional/behavioral disorders would be beneficial. Ways to improve different awareness were suggested in the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경. (2016).아동중심 놀이치료가 정서행동장애 위험 유아의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비교. 특수아동교육연구, 18 (3), 269-289

MLA

이지경. "아동중심 놀이치료가 정서행동장애 위험 유아의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비교." 특수아동교육연구, 18.3(2016): 269-2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