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성산출 기기(SGD)를 포함하는 의사소통 중재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 Meta-analysis of Communication Interventions Involving Speech-Generating Devices(SGD)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양현규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8권 제3호, 143~16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특수교육에서의 SGD 사용 AAC 중재 단일대상 실험연구를 개선율 차이 기법으로 메타분석하고 그 중재 효과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국내 특수교육연구에서 SGD 사용 AAC 중재 단일대상 실험문헌을 조사하여 21편의 분석대상 논문을 선정하였고 분석변인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최근 단일대상연구의 효과크기 계산에 사용되는 개선율 차이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변인에 따라 중재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SGD 사용 AAC 중재는 장애영역, 학교 과정에 따른 효과크기 분석에서 매우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국내 SGD 사용 AAC 중재는 SGD의 도구 구성 유형, 음성출력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 분석에서 매우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국내 SGD 사용 AAC 중재는 지금까지 의사소통 기능, 상호작용, 문해력에 대해 수행되었고 이들 종속변인에 대해 SGD 사용 AAC 중재는 매우 높은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AAC 중재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meta-analysis on the Korean empirical research articles related to communication interventions involving speech-generating devices(SGD). Method: 21 empirical articles for communication interventions involving SGD were selected and analyzed with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the types of SGD, and dependent variables.. The improvement rate difference method was employed to calculate the effect sizes of the AAC intervention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AAC interventions involving SGD generally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s with cerebral palsies or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r autistic spectrum disorders, regardless of school levels and regardless of the types of SGD configuration and the types of speech output. Second, the AAC interventions involving SGD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dependent variables, such as the communicative function, communicative interaction, and literacy skill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considerations for AAC intervention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중심 놀이치료가 정서행동장애 위험 유아의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비교
- 장애아동을 위한 무상의 적절한 공교육(FAPE)과 관련한 미국의 판례 분석
- 도식화전략 교수가 자폐성장애 학생의 수학 문장제 문제 해결 수행에 미치는 효과
-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공감피로, 공감만족에 양육유능감이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 2011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중학교 국어교과서 어휘의 빈도 및 등급 분석
- 기초학습 수행평가체제 어휘검사 타당화 연구
- 유아 및 초등 저학년 아동의 수감각 특성
-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
-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직업준비 기술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를 위한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핵심어휘 연구
-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읽기이해력 교수법에 대한 실제와 인식
- 음성산출 기기(SGD)를 포함하는 의사소통 중재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