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Review of the literature on social studie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ly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상희 이영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8권 제3호, 25~5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연구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국내 학술지와 석․박사학위논문 총 44편을 분석하였으며, 연도별 게재 현황과 연구 대상별 현황, 주제별 현황, 방법별 현황을 알아보고, 사회성 진단 및 평가를 위해 사용된 사회성 검사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사회성 증진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들의 현황 및 다양한 프로그램들의 결과들을 종합하는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07년부터 다문화가정 아동 사회성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2010년에서 2012년에 가장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졌고(27편), 아동만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38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만3세에서 만5세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28편이었고, 가장 많이 이루어진 연구주제는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 연구로 37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연구유형은 양적연구가 37편으로 가장 많았고, 사회성을 진단, 평가하는 검사들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사용된 국외 검사는 Gresham과 Elliott(1990)의 척도였으며, 국내 검사는 김영옥(2003)의 척도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연령은 만4세에서 6세가 가장 많았고 경기도에서 실시한 연구가 10편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 설계는 사전사후 설계가 27편으로 가장 많았고, 23편의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을 메타분석 한 결과 평균효과크기가 1.314(p<.001)로 나타났다. 결론: 다문화가정 아동 사회성 연구의 경향을 분석하여 사회성연구 및 사회성 증진프로그램개발을 위한 연구 방향의 기초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of the literature on social studies of multicultural familly children. Method: Analyzes of 44 dissertations and journals were analyze d with the publication of the year, study object, study subject, research methods, social diagnosis and evaluation test. Social program trend analysis and analyzed the effect size in the meta-analysis. Results: The study began in 2007, most studies have been made in 2010-2012. The main research object are children, main subject are social programs. and quantitative method has been done most. Social studies were the most used by foreign test Gresham and Elliott(1990) and national test Kim Young-ok(2003). The main program participation age is 4-6 years old and most frequently conducted in Gyeonggi-do Province. The most study design pre-post design conducted. Results of a meta-analysis of 23 social programs, effect size was 1.314(p<.001). Conclusions: Through social studies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earch direction for the social studies and social promote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중심 놀이치료가 정서행동장애 위험 유아의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비교
- 장애아동을 위한 무상의 적절한 공교육(FAPE)과 관련한 미국의 판례 분석
- 도식화전략 교수가 자폐성장애 학생의 수학 문장제 문제 해결 수행에 미치는 효과
-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공감피로, 공감만족에 양육유능감이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 2011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중학교 국어교과서 어휘의 빈도 및 등급 분석
- 기초학습 수행평가체제 어휘검사 타당화 연구
- 유아 및 초등 저학년 아동의 수감각 특성
-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
-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직업준비 기술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를 위한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핵심어휘 연구
-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읽기이해력 교수법에 대한 실제와 인식
- 음성산출 기기(SGD)를 포함하는 의사소통 중재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