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교사의 교직헌신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연민의 매개효과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Mediation Effects of Compassion in Teaching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Special Teacher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배숙자 최성규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9권 제1호, 231~25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직헌신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연민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교직헌신 15문항, 연민 30문항,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 24문항으로 총 69문항의 설문지를 개발하여 전국의 특수학교 교사 500명에게 배부하였다. 그 중 426(85.2%)명이 응답하였고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한 404(80.8%)부로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통계 처리하기 위해 통계프로그램 SPSS 22.0와 AMOS 22.0을 활용한 통계기법을 사용하였다. 특수교사의 교직헌신, 연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배경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세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교직헌신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연민의 매개효과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모형에 대한 적합도 검증 및 직․간접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직헌신, 연민,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은 배경변인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특수교사는 교직헌신, 연민,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 등과 같은 변인에 대하여 인구사회학적 배경과 관계없이 유사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직헌신, 연민,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았다. 따라서 세 변인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은 상호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직헌신과 심리적 안녕감에서 연민이 매개역할을 하며 모형 적합도도 타당하였다. 그러나 교직헌신이 직접 심리적 안녕감으로 연계되는 경로를 확보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특수교사의 교직헌신이 연민을 매개로 하여 심리적 안녕감을 확보하는 경로를 제안하고 있다. 결론: 결론적으로 교직헌신과 연민은 직접적인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하지만 교직헌신과 심리적 안녕감은 연민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그러므로 특수교사의 연민은 교직헌신이 심리적 안녕감을 촉진시키는 매개 역할을 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특수교사의 교직헌신과 연민은 심리적 안녕감을 촉진하여 교사의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져 특수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mediating effects of compassion in teaching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special teachers who were work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the special school. Methods: The questionnaire with teaching commitment 15 items, compassion 30 item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24 items were developed for this study. The 426 special teachers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special teachers’ perceptions in teaching commitment, compa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actors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by the special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nd (b)High relationships were identified teaching commitment, compa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actors; and (c) Special teachers’ teaching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re mediated compassion, and the fit index of the model. Conclusion: The special teachers’ teaching commitment had a structure to connect with compassion. In addition, teaching commitment with compassion had to go psychological well-being, however teaching commitment had no explanation 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compassion would be able to show mediating effect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with teaching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숙자,최성규. (2017).특수교사의 교직헌신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연민의 매개효과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9 (1), 231-250

MLA

배숙자,최성규. "특수교사의 교직헌신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연민의 매개효과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9.1(2017): 231-2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