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계선 지능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2
- 영문명
- An Analytic Review of Research Paper Related to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변관석 신진숙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9권 제1호, 79~10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현재 경계선 지적 기능에 대한 지식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여 앞으로 계속될 관련 분야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경계선 지적 기능과 관련된 국내문헌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방법: 논문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산출된 345편의 논문 중에서, 체계적인 선정 과정을 거쳐 학술지 게재 논문 및 학술대회 발표 논문 30편, 학위논문 21편, 총 51편의 연구를 문헌 고찰 과정에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문헌 연구 결과, 경계선 지적 기능과 관련된 국내연구들은 2000년대 이후로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주로 치료 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로서 앞으로 교육학 및 기타 영역에서도 집중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또한 경계선 지적 기능 범주의 아동들은 다양한 인지․학습적 문제를 동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일반아동과의 학습격차가 학년이 증가할수록 더 커지기 때문에 개별화된 보상적 중재가 어떠한 통로로든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결론: 본 문헌연구에서는 경계선 지적 기능을 가진 사람들이 보이는 여러 문제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아직 부족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경계선 지적 기능 범주에 대해서 제공될 수 있는 유연한 지원 체계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 사회적 논의가 요구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literatures related individual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to summarize the current knowledge. Method: 345 studies were searched from the database, and 51 studies were selected and reviewed for this research. Results: Results of this review indicate that studies related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were improved from 2000s, and many of studies were conducted in clinical settings in south korea. Some risk factors containing the low birth weight and preventive factors including of education, clinical service were also reported respectively. However, these factors were not specific to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Individual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lso face a variety of challenges in life, including cognitive, academical, social, and emotional challenges. Conclusion: The review demonstrated that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is almost invisible in the field of research. More research, social discussions, and flexible support system are needed continuall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6세~11세 저소득층 아동의 어휘 및 학습 능력에 관한 연구
- 특수교육대상자 특수학교 배치 현황의 국제 및 국내 분석
- 특수학교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의 장애 학생 읽기 지도 실태 분석
- 장애아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2011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생활영어에 대한 중등 특수교사의 인식
- 자폐성장애 학생의 교과학습 관련 국내외 단일대상 연구 분석
- 초등학생의 ADHD성향과 분노성향 및 분노표현
-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공격성과 친사회성이 지각된 인기에 미치는 영향
- 경계선 지능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 분석
- 특수교사의 교직헌신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연민의 매개효과 연구
- 다문화가정 장애 위험 아동의 조기 선별검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