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학교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의 장애 학생 읽기 지도 실태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sis of Special School and Special Class Teachers’ Reading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이영미 박은혜 김영태 신미경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9권 제1호, 27~5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의 장애 학생에 대한 읽기 지도 경험과 지원 정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설문조사를 위해서 장애 학생의 읽기 지도 실태, 경험, 지원에 관하여 묻는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전국에 소재한 특수학교 혹은 일반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에게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05부의 설문지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총 105명의 특수교사는 모두 장애 학생의 읽기 지도 경험이 있었다. 읽기 지도 전략에 따른 읽기 지도 경험에는 집단(특수학교, 특수학급)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적 수정에 적용에 따른 읽기 지도의 지원 정도에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특수학교보다는 특수학급의 특수교사가 장애 학생의 읽기 지도에 더 많은 교수적 수정 지원을 하는 것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의 특수교사의 읽기 지도 실태와 지원 정도를 분석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읽기 지도 자료, 전략, 교수 방법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또한, 특수교사를 위한 읽기 지도 연수에서 교육배치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다양한 교수환경, 내용, 전략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겠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pecial school and special class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and reading instructional support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to examine the reading instructional practices, experiences, and support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s study target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a special or general school in South Korea, and a total of 105 survey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105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experiences providing reading instruction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Special school and special class teache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ading instructional experiences per their use of instructional practices. However, the teachers’ perceived degree of reading instructional suppor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educational placements. Specificall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classes showed significantly more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al accommodations than those in special schools when providing reading instruction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special education fields still need effective reading instructional resources, strategies, methods for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Future teacher training programs should focus on how to use various instructional setting, contents,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different educational placements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영미,박은혜,김영태,신미경. (2017).특수학교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의 장애 학생 읽기 지도 실태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9 (1), 27-52

MLA

이영미,박은혜,김영태,신미경. "특수학교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의 장애 학생 읽기 지도 실태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9.1(2017): 27-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