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ADHD성향과 분노성향 및 분노표현
이용수 0
- 영문명
-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HD Tendency, Anger Trait and Expression: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and Difference base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최진오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9권 제1호, 177~19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분노성향과 분노표현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지 여부와 이러한 분노성향과 분노표현에 ADHD성향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영향은 학생들의 개별특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수도권 지역 5개 학교 초등학교 4-6학년 학생 938명을 대상으로 분노성향과 분노표현, ADHD성향과 학업성취도 수준을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단일회귀분석과 중다회귀분석, 이원변량분석과 그래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생들의 분노성향과 분노표현 중 분노표현만이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ADHD성향은 분노성향을 증가시키고 분노표현 중 분노표출은 증가시키며, 분노억압과 분노조절은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ADHD성향이 분노성향과 분노표현 중 분노표출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남학생들보다 여학생들에 있어 ADHD성향이 분노성향과 분노표출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교육현장에서 분노문제를 예방하고 지도함에 있어 분노성향과 분노표현의 차이, ADHD성향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는 점과 ADHD성향을 나타내는 여학생들에 대해 보다 심도깊은 분노예방 및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ger trait and expression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to analyze the impacts of their ADHD tendency on the anger trait and expression Method: In capital area, 938 students from five different schools were surveyed. The participants were 4th, 5th, or 6th graders and answered the survey about their anger trait, anger expression, ADHD tend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data were analysed by regression, multiple regression, two way ANOVA, and graph analysis. Results: First, anger expression had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s on academic achievement. Second, ADHD tendency could increase anger trait and anger out and degrade anger in and anger control. Third, the impacts of ADHD tendency on their anger trait and anger out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gender. The ADHD tendency of female students was more likely to have negative impacts on their anger trait and anger out compared to those of male students. Conclusion: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difference of anger trait and expression, and ADHD tendency should be considered when intervening anger issues in elementary education. Particularl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emphasize that more deliberate interven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female students with higher level of ADHD tendenc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6세~11세 저소득층 아동의 어휘 및 학습 능력에 관한 연구
- 특수교육대상자 특수학교 배치 현황의 국제 및 국내 분석
- 특수학교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의 장애 학생 읽기 지도 실태 분석
- 장애아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2011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생활영어에 대한 중등 특수교사의 인식
- 자폐성장애 학생의 교과학습 관련 국내외 단일대상 연구 분석
- 초등학생의 ADHD성향과 분노성향 및 분노표현
-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공격성과 친사회성이 지각된 인기에 미치는 영향
- 경계선 지능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 분석
- 특수교사의 교직헌신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연민의 매개효과 연구
- 다문화가정 장애 위험 아동의 조기 선별검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