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아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Happiness on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n Day-care Center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Personal Teaching Efficacy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자경 신보희 김경미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9권 제1호, 159~17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아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개인적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하고 있는 15곳의 장애아전문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141명을 대상으로 행복감, 개인적 교수효능감, 직무만족도 설문을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Pearson 적률상관, Baron과 Kenny의 3단계 절차에 따른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아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개인적 교수효능감, 직무만족도 수준은 모두 보통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복감, 개인적 교수효능감, 직무만족도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행복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개인적 교수효능감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행복감과 개인적 교수효능감은 장애아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복감과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고, 행복감이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매개될 때 직무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appiness on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n day-care center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personal teaching efficacy. Method: For this purpose, 141 teachers who work in child-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B city were surveyed about their happiness,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mediation analysis of Baron and Kenny.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happiness,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were normal, and all three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lso, personal teaching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happiness, personal teaching efficacy are an important factor for job satisfaction. And although happiness has a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it can be seem that job satisfaction is more influenced when personal teaching efficacy are media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사의 교직헌신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연민의 매개효과 연구
- 장애아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공격성과 친사회성이 지각된 인기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가정 장애 위험 아동의 조기 선별검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 경계선 지능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 분석
- 6세~11세 저소득층 아동의 어휘 및 학습 능력에 관한 연구
- 2011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생활영어에 대한 중등 특수교사의 인식
- 자폐성장애 학생의 교과학습 관련 국내외 단일대상 연구 분석
- 특수교육대상자 특수학교 배치 현황의 국제 및 국내 분석
- 초등학생의 ADHD성향과 분노성향 및 분노표현
- 특수학교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의 장애 학생 읽기 지도 실태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A Study on Ren Bishi’s Thought on the Work of the Youth League
- An Analysis of India’s Arctic Strategy from the Perspective of Indian Think Tanks
- Family Matters at Work: The Impact of Marital and Caregiving Roles on Employee Wellbeing Across Age Group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