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aregivers' Perceptions on Self-Determination of Children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경양 구민관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1권 제2호, 217~24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보호자의 개인 변인, 가족 변인, 장애학생 개인 변인, 자기결정에 대한 정보에 따라 지체·중복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해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향후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자기결정 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으로 서울 및 경기 소재 지체장애 특수학교, 지체장애학생 부모회, 지체장애 학생 치료실 보호자 9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후, 응답자 요인들에 대해 다변량분석(MANOVA)을 실시하였으며, 필요시 Scheffe 사후 분석을 함께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체·중복장애 자녀의 자기결정에 대해 보호자 개인 변인, 가족 변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자녀 학교에 따른 요인(인식과 실행, 계획과 평가, 가치 탐색) 간 인식 차이가 나타났다. 자녀 학교급(학년)에 따른 요인(인식과 실행) 간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자기결정에 대해 들어본 경험에 따라 모든 요인(인식과 실행, 계획과 평가, 가치탐색) 간 인식에서 유이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자기결정과 관련한 교육을 받아본 경험 유무에 따라 요인(가치 탐색) 간 인식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보호자들의 인식의 차이는 주로 지체·중복장애학생들의 학교 요인들(예: 학년/학교)과 자기결정에 대한 정보 변인(예: 들어본 경험, 교육 경험)에 영향을 받는 반면 가정적 요인들(예: 수입 / 가족구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향후 지체·중복장애학생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자기결정 교육의 필요성 및 자기결정 프로그램 개발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parents who had a child with physical or multiple disabilities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self-determination skills of these children. Method: 92 caregivers having a child with physical or multiple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study. Factor and reliability analyses were used to compose survey question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MANOVA) were conducted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responses. Scheffe follow-up test was aslo conducted if needed. Results: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some statistically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the parents in some variables. First, parents’ income and relationship did not affect the parents’ perceptions. Second, there was a different perception based on child’s educational setting across all three factors. there was a different perception based on grade level in the recognition and execution factor. Third, parents’ knowledge on self-determination resulted in a different perception of the parents across all factors. Experiences with parent training on self-determination affected the parents’ perception in the value exploration factor. Conclusions: The differences in the parents’ perceptions were not attributed from family factors (e.g., income/family structure), but school factors (e.g., grade/education sett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각적 스케줄 활용이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 A Comparison of Demographic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between Employed and Unemployed South Korean High School Graduate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스마트폰을 활용한 상황학습의 장기간 지원이 발달장애인의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
- 학부모가 인식하는 장애학생 여가활동의 저해요인과 지원방안
- 사회적 의사소통장애 연구 문헌분석
- 특수학교 자유학기제에 대한 특수교사의 메타포
- 지체·중복장애학생 보호자의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
- 직접교수법과 반복 읽기에 의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활용 수정된 그림책 읽기 중재가 중등도 지적장애 학생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 일반 초등학생 학부모가 인식한 장애인 교사의 이미지
- 4세 유아의 그림상징 표현 특성
- 추론적 이해 특성 기반 학습장애 위험군 판별 가능성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