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taphor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Free Semester in Special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은라 박재국 백지혜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1권 제2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학교 자유학기제에 대한 특수교사의 메타포(metaphor) 의미를 조사하여 범주화시키며, 동시에 특수교사 변인에 따른 메타포 범주의 차이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부산과 경남 소재 특수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123명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에 대한 메타포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코딩, 메타포의 분류, 범주 개발 및주제명 부여, 타당도와 신뢰도 검토, 양적 분석의 4단계를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자유학기제에 대한 특수교사의 메타포 의미를 범주화하여 ‘꿈을 찾아가는 여행’, ‘어제와 다르지 않은 일상’, ‘연구대상’, ‘요원한 희망’ 등 총 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둘째, 4개 주제에 대한 특수교사 변인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자유학기제 관련 연수경험 유무에 따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즉, 연수 경험이 있는 집단은 특수학교 자유학기제를 ‘꿈을 찾아가는 여행’, ‘요원한 희망’으로 인식하는 한편, 연수 경험이 없는 집단은 ‘연구대상’, ‘꿈을 찾아가는 여행’으로 여기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교 자유학기제가 지향하는 궁극적 목표 성취를 위한 실행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taphors on free semester of special schools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categorize the metaphors and then, to explore differences according to variabl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Method: 123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scribed the metaphoric meaning on free semester of special schools and the ground using open-ended ques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our steps: coding, metaphor classification, category development and subject naming, validity and reliability review, and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 First, the metaphors were categorized by 4 subjects such as ‘journey for my dream’, ‘routines not different yesterday’, ‘object of study’, and ‘far-off hope’.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recognition on subjects according to teacher training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particular, the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on teacher trainings thought of free semester as journey for my dream while the teachers who have not experienced on teacher trainings thought of it as ‘object of study’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actical approaches to implement the ideal free semester of special school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각적 스케줄 활용이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 A Comparison of Demographic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between Employed and Unemployed South Korean High School Graduate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스마트폰을 활용한 상황학습의 장기간 지원이 발달장애인의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
- 학부모가 인식하는 장애학생 여가활동의 저해요인과 지원방안
- 사회적 의사소통장애 연구 문헌분석
- 특수학교 자유학기제에 대한 특수교사의 메타포
- 지체·중복장애학생 보호자의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
- 직접교수법과 반복 읽기에 의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활용 수정된 그림책 읽기 중재가 중등도 지적장애 학생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 일반 초등학생 학부모가 인식한 장애인 교사의 이미지
- 4세 유아의 그림상징 표현 특성
- 추론적 이해 특성 기반 학습장애 위험군 판별 가능성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교수학 제27권 제2호 목차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소인수분해 개념 도입의 변화와 교과서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생산적 수업 담론을 위한 ‘5관행’ 적용 고등학교 수업 실행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